▲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중형 전기 세단 '아이오닉6 N' 정측면. <비즈니스포스트>
지난 23일 충남 태안군 현대자동차그룹(HMG) 드라이빙익스피리언스센터에서 기자와 함께 트랙 주행을 마친 인스트럭터는 운전석에서 내리면서 이같이 말했다.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M4로 트랙 체험을 해본 적이 있는데, 아이오닉6 N과 큰 차이를 모르겠다는 기자의 평가에 대한 대답이었다.
BMW 고성능 중형 쿠페 M4는 국내 판매 가격이 1억5천만 원에 육박한다. 아이오닉6 N 가격은 7990만 원으로 M4의 절반 수준이다.
전기차인 아이오닉6 N이 직렬 6기통 트윈터보를 탑재한 M4와 비교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낼 수 있을까.
이날 오후 내내 직접 타 본 아이오닉6 N은 그 물음에 '예스'라는 답을 받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현대자동차그룹 드라이빙익스피리언스센터에서 열린 현대자동차 고성능 중형 전기 세단 아이오닉6 N 시승 행사는 공도 주행과 특화 코스 주행으로 나뉘어 5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공도 주행에서는 아이오닉6 N이 운전의 재미만을 위한 고성능차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상에서 출퇴근용으로 매일 타기에도 충분히 매력적인 차량이라고 느낄 만큼 승차감이 생각보다 뛰어났다.
고성능차들은 성능을 높이기 위한 설계에 집중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일반 차량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아이오닉6 N은 이런 편견을 깰 수 있을 만한 승차감을 제공했다.
▲ 아이오닉6 N 측면. <비즈니스포스트>
아이오닉6 N에 적용된 스트로크 감응형 전자제어서스펜션(ECS) 댐퍼는 전후륜 로워암에 부착한 차고 센서 4개를 활용해 주행 모드와 노면 조건에 따라 각 휠의 감쇠력을 정교하게 제어한다.
특화 주행 코스에서는 아이오닉6 N이 가진 높은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됐다.
드래그 주행은 1㎞가 넘는 직선 코스에서 출발과 동시에 가속페달을 최대로 밟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론치 컨트롤을 사용하면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시간(제로백)이 3.2초에 불과했다.
시속이 금방 200㎞ 중반대까지 올라갔지만 차체가 큰 흔들림 없이 유지돼 불안함 없이 차량을 밀어부칠 수 있었다.
브레이크 페달 반응도 좋아서 빠른 속도에서도 원할 때 얼마든지 속도를 줄일 수 있었다.
가상 변속 기능인 N 이-시프트는 운전하는 재미를 더해줬다. 전기차는 배터리로 구동되기 때문에 내연기관차를 변속할 때처럼 충격이 없다. 하지만 가상 변속 기능을 사용하면 변속 단계마다 토크를 제한해 내연기관차에서처럼 변속할 때마다 약간의 울렁거림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런 가상 변속 기능은 마치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운전하는 듯한 재미를 더했다.
액티브 사운드 기능은 변속 시 효과음을 제공하는데 이그니션, 에벌루션, 라이트스피드 등 세 가지로 구성됐다. 이그니션은 고성능 내연기관차 특유의 팝콘 튀기는 소리고, 나머지 둘은 미래지향적인 전자음이다. 라이트스피드는 이번 모델에 처음 적용됐다.
다만 에벌루션과 라이트스피드는 호불호가 갈릴 것 같은 소리였다. 기자도 한 번씩만 들어본 후에는 행사 내내 이그니션만을 사용했다.
실내 스피커 6개에서 나오는 사운드와 변속 충격은 전기차가 아닌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운전하는 듯한 느낌을 줬다.
박준우 현대자동차 N매니지먼트실장은 “라이트스피드가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소리라는 점은 인정하는 부분”이라며 “하지만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 추가했고, 좋아할 만한 소비자도 분명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아이오닉6 N에는 드리프트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인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도 세분화됐다. 아이오닉5 N에도 있던 기능이지만, 회생제동 토크와 드리프트 진입각, 휠스핀 등 제어량 설정 기능이 추가됐다. 드리프트를 처음 시도해 보는 것이라 쉽지 않았음에도 몇 번의 시도 만에 드리프트를 성공할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
롤 센터를 낮추면 코너를 돌 때 차량이 좌우로 기우뚱하는 롤 현상이 늘어난다. 하지만 롤 센터 하향 설계를 잘 활용하면 롤 증가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트랙 주행에서도 타이어 접지력을 최대한 활용해 랩 타임을 줄일 수 있다.
현대차는 롤 센터를 낮추는 동시에 서스펜션에 적용된 스프링을 강화해 롤 현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슬라럼 등 스티어링휠을 급격하게 조작해야 하는 코스에선 차체가 안정적이면서도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빠른 속도에서 조작해도 차제가 곧바로 회복해 다음 움직임을 준비했다. 운전자가 원하는대로 예측 가능한 드라이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드리프트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인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도 세분화됐다. 아이오닉5 N에도 있던 기능이지만, 회생제동 토크와 드리프트 진입각, 휠스핀 등 제어량 설정 기능을 추가했다.
드리프트를 처음 시도해 보는 것이라 쉽지 않았음에도 몇 번의 시도 만에 드리프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움직임까지는 만들어낼 수 있었다.
드리프트 체험을 도와준 인스트럭터는 “지금 두 아이의 아빠임에도 패밀리카인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팔고, 아이오닉6 N을 사려고 아내와 진지하게 고민 중”이라며 “현재 시중에 있는 2억 원 이하 차량 중에는 아이오닉6 N 만큼의 성능을 보여주는 차량이 없다고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