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 기업들의 멕시코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코트라는 11일 멕시코시티에서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수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25 멕시코 스마트시티·디지털정부 로드쇼’를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코트라 스마트시티 멕시코 진출 지원, "신흥개발도상국 공략 박차"

▲ 코트라는 11일 멕시코시티에서 ‘2025 멕시코 스마트시티·디지털정부 로드쇼’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스마트시티 로드쇼’는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유망시장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멕시코 행사에 이어 인도네시아(5월), 말레이시아(5월), 태국(5월), 우즈베키스탄(9월), 사우디아라비아(10월) 등 중남미·아세안·중동 7개국에서 스마트시티 로드쇼가 순차적으로 열린다. 

멕시코는 지난해 10월 취임한 클라우디아 쉐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혁신 기술개발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중남미 지역 혁신 및 디지털 전환 선도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에 대응해 멕시코시티와 누에보레온 등 주요 대도시에서 스마트 교통 시스템, 스마트 보안 센터 등 첨단 도시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전환전략실’을 신설하는 등 거브테크(GovTech) 분야 협력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거브테크란 공동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제공하는 대국민 서비스 기술을 말한다.

이번 행사에는 스마트시티 및 거브테크 분야의 국내기업 12곳과 현지 바이어 및 발주처 80여곳이 참가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한-멕시코 ICT 협력 포럼, 쇼케이스, 비즈니스 상담회 등이 진행됐다.

한-멕시코 ICT 협력 포럼에서는 멕시코주 경제진흥부와 멕시코시티 경제개발부 관계자들이 참석해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정부 주요 프로젝트 동향을 공유했다. 한국 기업들은 포럼과 쇼케이스를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사이버 보안, 재난방지 솔루션 등을 현지 바이어 및 정부 관계자들에게 선보였다.

비즈니스 상담회에는 멕시코시티 간선급행버스(BRT) 7개 노선을 운영하는 메트로부스(Metrobus), 중남미 최대 IT 서비스 기업 손다(Sonda), 멕시코 대표 플랜트 기업 아츠코(Atzco) 등 다수의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100여 건의 상담과 3건의 업무협약식이 진행됐다.

정외영 코트라 혁신성장본부장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솔루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코트라는 한국 기업들이 우수한 ICT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우스(신흥 개발도상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