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양회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시멘트 수요가 줄어도 수출을 확대하고 판매가격이 오른 덕분에 2019년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조윤호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5일 쌍용양회 목표주가 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24일 쌍용양회 주가는 6600원에 장을 마쳤다.
조 연구원은 “쌍용양회는 2019년에 국내 시멘트 수요가 줄어도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며 “쌍용양회가 업황이 어려운데도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기초체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건자재업종의 최선호종목으로 유지한다”고 말했다.
2019년 국내 시멘트 수요는 2018년보다 10.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시멘트 수요가 2017년보다 5% 줄어든 것보다 감소폭이 더 큰 것이다.
쌍용양회는 2019년에 시멘트의 내수 출하량이 2018년보다 10% 이상 줄어들지만 수출을 통해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시멘트의 평균 판매가격이 7.7% 올랐고 폐열발전설비 및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한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조 연구원은 “2019년은 2018년과 비교했을 때 인상된 시멘트 가격이 실적에 반영되고 시멘트의 원재료인 유연탄 가격은 내려가는 시기일 것”이라며 “쌍용양회 등 시멘트회사의 실적에 긍정적”이라고 바라봤다.
쌍용양회는 2019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4930억 원, 영업이익 2570억 원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0.1% 줄어들지만 영업이익은 14%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국내 시멘트 수요가 줄어도 수출을 확대하고 판매가격이 오른 덕분에 2019년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 홍사승 쌍용양회 대표이사 회장.
조윤호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5일 쌍용양회 목표주가 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24일 쌍용양회 주가는 6600원에 장을 마쳤다.
조 연구원은 “쌍용양회는 2019년에 국내 시멘트 수요가 줄어도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며 “쌍용양회가 업황이 어려운데도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기초체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건자재업종의 최선호종목으로 유지한다”고 말했다.
2019년 국내 시멘트 수요는 2018년보다 10.8%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시멘트 수요가 2017년보다 5% 줄어든 것보다 감소폭이 더 큰 것이다.
쌍용양회는 2019년에 시멘트의 내수 출하량이 2018년보다 10% 이상 줄어들지만 수출을 통해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시멘트의 평균 판매가격이 7.7% 올랐고 폐열발전설비 및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한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조 연구원은 “2019년은 2018년과 비교했을 때 인상된 시멘트 가격이 실적에 반영되고 시멘트의 원재료인 유연탄 가격은 내려가는 시기일 것”이라며 “쌍용양회 등 시멘트회사의 실적에 긍정적”이라고 바라봤다.
쌍용양회는 2019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4930억 원, 영업이익 2570억 원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0.1% 줄어들지만 영업이익은 14%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