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주가가 올랐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인도네시아 방문하면서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졌다.
3일 롯데케미칼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5.87%(1만6천 원)오른 28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롯데케미칼 주가는 이날 신 회장이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과 함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시장을 방문하면서 힘을 받았다.
그동안 지연됐던 인도네시아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됐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인도네시아에 4조 원가량을 들여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세운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신 회장의 구속수감으로 사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날 롯데케미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석유화학회사 주가가 올랐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해소돼 석유화학제품의 수요가 다시 늘고 업황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석유화학회사 주가에 반영됐다.
LG화학 주가는 5.64%(1만9500원) 오른 36만5천 원에, 한화케미칼 주가는 2.38%(450원)오른 1만9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2일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만나 2019년 1월부터 90일 동안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인도네시아 방문하면서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졌다.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3일 롯데케미칼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5.87%(1만6천 원)오른 28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롯데케미칼 주가는 이날 신 회장이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과 함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시장을 방문하면서 힘을 받았다.
그동안 지연됐던 인도네시아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됐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인도네시아에 4조 원가량을 들여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세운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신 회장의 구속수감으로 사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날 롯데케미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석유화학회사 주가가 올랐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해소돼 석유화학제품의 수요가 다시 늘고 업황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석유화학회사 주가에 반영됐다.
LG화학 주가는 5.64%(1만9500원) 오른 36만5천 원에, 한화케미칼 주가는 2.38%(450원)오른 1만9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2일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만나 2019년 1월부터 90일 동안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