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호석유화학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주요 제품 업황이 개선되고 있는 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8일 금호석유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18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지난 17일 금호석유화학 주가는 12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황 연구원은 “올해 니트릴부타디엔(NB) 라텍스 증설 완화와 미국 상호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둔화가 겹치며 금호석유화학이 어려움을 겪었다”며 “2026년에는 NB라텍스 회복과 아시아지역 나프타분해설비(NCC) 구조조정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호석유화학은 2025년에 매출 6조9283억 원, 영업이익 3123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2026년에는 매출이 7조1611억 원, 영업이익이 3686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2728억 원과 비교해 2026년 영업이익은 35.1% 증가한 수치로 바닥을 찍은 뒤 회복세를 이어간다는 것이다.
NB라텍스 가동률 상승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2026년 세계 NB라텍스 수요는 올해보다 15% 증가한 31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공급은 일본 제온의 7만5천 톤 규모 설비 폐쇄로 줄어들게 된다.
황 연구원은 수요 확대와 공급 축소 영향으로 금호석유화학 NB라텍스 설비 가동률도 2025년 54%에서 2026년 65%, 2027년 75%로 높아질 것으로 바라봤다.
아시아 지역 에틸렌 설비가 1300만 톤 이상 가동 중단할 계획이라는 점도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NCC 가동 중단으로 설비 부산물이자 합성고무 원재료인 부타디엔 생산 능력이 140만 톤가량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글로벌 수요인 2천만 톤의 7%에 해당하는 수치다.
황 연구원은 “부타디엔 생산 축소는 타이어 및 라텍스 업체를 중심으로 한 부타디엔 확보 경쟁 심화로 이어져 관련 스프레드(판매가와 제조원가 차이) 개선을 부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경래 기자
주요 제품 업황이 개선되고 있는 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 금호석유화학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8일 금호석유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18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지난 17일 금호석유화학 주가는 12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황 연구원은 “올해 니트릴부타디엔(NB) 라텍스 증설 완화와 미국 상호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둔화가 겹치며 금호석유화학이 어려움을 겪었다”며 “2026년에는 NB라텍스 회복과 아시아지역 나프타분해설비(NCC) 구조조정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호석유화학은 2025년에 매출 6조9283억 원, 영업이익 3123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2026년에는 매출이 7조1611억 원, 영업이익이 3686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2728억 원과 비교해 2026년 영업이익은 35.1% 증가한 수치로 바닥을 찍은 뒤 회복세를 이어간다는 것이다.
NB라텍스 가동률 상승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2026년 세계 NB라텍스 수요는 올해보다 15% 증가한 31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공급은 일본 제온의 7만5천 톤 규모 설비 폐쇄로 줄어들게 된다.
황 연구원은 수요 확대와 공급 축소 영향으로 금호석유화학 NB라텍스 설비 가동률도 2025년 54%에서 2026년 65%, 2027년 75%로 높아질 것으로 바라봤다.
아시아 지역 에틸렌 설비가 1300만 톤 이상 가동 중단할 계획이라는 점도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NCC 가동 중단으로 설비 부산물이자 합성고무 원재료인 부타디엔 생산 능력이 140만 톤가량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글로벌 수요인 2천만 톤의 7%에 해당하는 수치다.
황 연구원은 “부타디엔 생산 축소는 타이어 및 라텍스 업체를 중심으로 한 부타디엔 확보 경쟁 심화로 이어져 관련 스프레드(판매가와 제조원가 차이) 개선을 부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