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조치에 따른 산업 피해와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적극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 점검회의’를 열고 비상대응 체계 가동을 통한 산업별 피해분석, 금융시장 안정, 금융권 건전성 관리 등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장 이복현 "상호관세 따른 산업별 피해 분석, 시장안정 조치 적시 시행"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해 미국 상호관세 부과조치에 따른 한국 산업별 피해를 면밀히 분석하고 금융시장 안정조치를 적시에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번 관세는 다수 국가에 관한 동시다발적 차등관세로 한국산업에 미칠 영향과 파급경로가 매우 복잡하다”며 “산업별 피해수준을 정밀히 분석해 수출기업은 물론 중소 협력기업에 관한 대응방안을 강구해달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부과 뒤 금융권의 기업자금 취급 동향과 건전성 추이에 관한 점검 강화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미국 상호관세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증가할 수 있고 실물경제 자금공급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도 금융사 건전성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며 “건전성과 소비자보호 원칙 허용범위 안에서 금융권과 적극적 소통으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은행이 관세부과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자금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자본규제 관련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보험업계 자본규제 합리화 등 제도개선도 충분한 준비기간을 두고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원장은 “미국 상호관세 조치 강도가 예상보다 높은 만큼 시장에 미칠 부정적 파급효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시장안정 조치를 적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해달라”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