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은 세계 5번째 고속철도 KTX가 21돌을 맞이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2004년 4월1일부터 운행한 KTX가 개통 21주년을 맞았다고 1일 밝혔다.
 
'세계 5번째 고속철도' KTX 개통 21주년, 11억4천만 명 싣고 7억km 달려

▲ KTX가 1일 개통 21주년을 맞았다. <한국철도공사>


철도공사는 KTX가 지금까지 11억4천만 명을 싣고 6억9천만km를 달렸다고 집계했다. 국민 한 사람당 KTX를 23번 탄 셈으로 전체 운행거리는 지구둘레(4만km)를 1만7천 바퀴 돈 것과 맞먹는다.

최초 경부·호남선 20개 역에서 시작한 KTX는 현재 8개 노선, 77개 역을 지나고 있다. 올해 연말에는 동해선에서도 KTX가 운행한다.

올해 KTX 하루 평균 이용객은 24만6천 명으로 개통 첫해 7만2천 명과 비교하면 3.4배 늘었다. 올해 하루 운행횟수는 385회로 개통 초기(142회)와 비교해 2.7배 증가한 것이다.

KTX는 중·장거리 통행의 중추적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3년 국가교통통계에 따르면 KTX는 210km 이상의 거리에서 수송 분담률 25.6%를 차지한다.

2024년 철도공사의 권역별 교통시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부산 이동의 53%, 서울-광주의 44%, 서울-울산의 62%가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공사는 시대 변화에 발맞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코레일톡’을 기반으로 하는 ‘코레일 마스(MaaS)’를 확대하는 등 디지털 중심의 KTX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철도공사는 기대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열차 KTX-1을 대체할 차세대 고속차량에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안전과 편의성을 대폭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차성열 철도공사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