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체육관광부와 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게임산업 규모는 약 23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2023년 국내외 게임산업의 현황을 정리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게임산업 규모는 꾸준히 성장을 이어갔다. 다만 성장률 자체는 둔화했다.
2023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22조9642억 원, 수출액은 83억9400만 달러(한화 약 10조9785억 원)로 전년 대비 6.5% 감소했다.
2023년 국내 게임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대비 0.7% 늘어난 8만4970명이다. 게임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 수는 5만1783명(60.9%), 게임 유통업 종사자 수는 3만3187명(39.1%)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에 이어 게임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 수가 유통업 종사자 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콘진원 측은 “2024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5조1899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게임산업은 지식재산권(IP) 다각화와 장르 확장 시도 등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며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2023년 모바일게임 매출이 13조6118억 원으로 전체 게임산업 매출액의 59.3%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PC게임 5조8888억 원(점유율 25.6%), 콘솔게임 1조1291억 원(점유율 4.9%), 아케이드게임 2852억 원(점유율 1.2%) 순이다.
게임 플랫폼의 매출은 아케이드게임을 제외하고 모두 늘어났다. 성장률 기준 모바일게임 4.1%, PC게임 1.4%, 콘솔게임 0.8% 각각 늘었다. 아케이드게임은 4.2% 가량 줄어들었다.
아케이드 게임장(성장률 14.2%)은 전자화폐 사용 도입으로 인한 상승효과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PC방(성장률 6.5%)은 작년에 비해 소폭 성장했지만 성장세 둔화 조짐을 보였다. 지속적으로 PC방을 찾는 유인이 낮아진 만큼 큰 증가 추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란 판단이다.
2023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2% 증가한 2051억8900만 달러로 추정된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 순위는 4위(7.8%)로 전년과 동일하고, 글로벌 순위 또한 미국, 중국, 일본 순으로 변동이 없었다.
2023년 한국 게임산업 수출은 전년대비 6.5% 감소한 83억9400만 달러(한화 약 10조 9576억 원)다.
수출 국가별 비중은 중국(25.5%), 동남아(19.2%), 북미(14.8%), 일본(13.6%), 대만(10.4%), 유럽(6.7%) 순이다. 2022년 결과와 비교하면 동남아는 5.0%포인트 늘었고, 중국은 4.6%포인트 줄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