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12월3일 계엄사태 당일 발생한 전산장애와 관련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고객 보상 규모와 서버용량 증설 계획 등을 결정했다. 

금융감독원은 6일 서울 금융감독원 회의실에서 ‘가상자산업자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계엄일 전산장애 업비트 31억·빗썸 5억 보상 결정, 서버 용량도 증설 예정

▲ 금융감독원은 6일 가상자산업자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고 계엄일 전산장애 원인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종오 금융감독원 디지털·IT 부원장보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등 모두 5개 회사의 CEO, 최고기술책임자(CTO), 디지털자산 거래소협의체(닥사, DAXA)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금융감독원은 계엄일 전산장애 발생 사업자 현장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재발 방지 대책 이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계엄일 전산장애 관련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정식 보상신청 1135건 가운데 604건에 31억6천만 원 규모를, 빗썸은 정식 보상신청 187건 가운데 54건에 5억 원 보상을 결정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는 각 회사 보상심사 결과에 따라 지급결정 및 확정된 금액이다”며 “입증 불가하거나 주문기록이 없는 경우, 단순 기대이익과 관련해 보상을 요구한 경우 등은 보상에서 제외됐다”고 설명했다.

전산장애 주요 원인은 트래픽 집중에 따른 서버용량 부족 등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재발 방지를 목표로 서버 등 장비 증설계획을 이행했으며 일부 이행되지 않은 증설 계획도 상반기 안에 진행한다.

금융감독원은 “서버 확충, 인프라 확대, 전산장애 대응체계 확립 등 전산장애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금융위원회 등과 긴밀히 협조해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시스템 안정성 확보의무 등 관련규제 도입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