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제주항공 주식 투자의견이 중립으로 낮아졌다. 목표주가도 하향됐다.
해외여행 수요는 여전히 강하지만 항공사들의 국제선 공급 증가에 따른 운임하락과 비용상승 압력으로 실적 추정치가 낮아졌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제주항공 목표주가를 기존 1만3500원에서 1만1천 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기존 매수(BUY)에서 중립(HOLD)로 낮췄다.
직전거래일인 6월28일 제주항공 주가는 1만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함에 따라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조정했다”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을 통해 시장이 다시 한 번 재편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바라봐야한다”고 내다봤다.
제주항공은 2분기 시장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제주항공은 2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4038억 원, 영업적자 77억 원을 본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 2분기보다 매출은 약 8% 늘고 영업손익은 적자 전환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2분기는 역대 최고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1분기와 상황이 다르다”며 “조업단가 및 인건비 등 여러 비용 항목들에서 인플레이션 영향이 짙은 상황을 간과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난 만큼 국제선 공급량도 늘어 운임 하락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4년 5월 국제선 수송실적은 약 712만 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5월보다 35% 증가했으며 2019년 5월 수송실적의 95% 수준까지 회복한 것이다.
박 연구원은 “해외여행 수요가 올라오는 만큼 국제선 공급도 확대되고 있어 운임이 자연스럽게 하락할 수밖에 없다”며 “주력 근거리 노선인 일본·동남아·동북아 등 노선은 오히려 2019년 5월보다 공급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동현 기자
해외여행 수요는 여전히 강하지만 항공사들의 국제선 공급 증가에 따른 운임하락과 비용상승 압력으로 실적 추정치가 낮아졌다.

▲ 제주항공이 항공사들의 국제선 공급이 늘고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실적 전망이 악화될 것으로 평가됐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제주항공 목표주가를 기존 1만3500원에서 1만1천 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기존 매수(BUY)에서 중립(HOLD)로 낮췄다.
직전거래일인 6월28일 제주항공 주가는 1만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함에 따라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조정했다”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을 통해 시장이 다시 한 번 재편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바라봐야한다”고 내다봤다.
제주항공은 2분기 시장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제주항공은 2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4038억 원, 영업적자 77억 원을 본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 2분기보다 매출은 약 8% 늘고 영업손익은 적자 전환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2분기는 역대 최고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1분기와 상황이 다르다”며 “조업단가 및 인건비 등 여러 비용 항목들에서 인플레이션 영향이 짙은 상황을 간과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난 만큼 국제선 공급량도 늘어 운임 하락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4년 5월 국제선 수송실적은 약 712만 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5월보다 35% 증가했으며 2019년 5월 수송실적의 95% 수준까지 회복한 것이다.
박 연구원은 “해외여행 수요가 올라오는 만큼 국제선 공급도 확대되고 있어 운임이 자연스럽게 하락할 수밖에 없다”며 “주력 근거리 노선인 일본·동남아·동북아 등 노선은 오히려 2019년 5월보다 공급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