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제주항공이 지난해에 회사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거뒀다.
제주항공은 6일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7240억 원, 169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2022년보다 매출은 145.4% 늘었고 영업수지는 흑자로 돌아섰다.
순이익도 1307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제주항공의 2022년도 실적은 2006년 회사 창립 이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 모든 항목에서 역대 최대치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실적을 놓고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뒤 중·단거리 노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하는 전략이 유효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항공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항공의 일본 노선 수송객 수는 356만9173명으로 전체 수송객의 20%를 차지했다. 일본 노선을 운영하는 모든 항공사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이다.
제주항공은 괌·사이판 노선에서는 46만1670명, 필리핀 노선에서는 82만4463명을 수송했다. 각각 전체 수송객의 38.9%, 30.3%에 이르는 점유율이다.
제주항공은 앞으로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해 기단을 현대화하고 항공기 운용 리스 방식 대신 직접 구매 방식을 적용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준희 기자
제주항공은 6일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7240억 원, 169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 제주항공이 지난해 회사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거뒀다.
2022년보다 매출은 145.4% 늘었고 영업수지는 흑자로 돌아섰다.
순이익도 1307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제주항공의 2022년도 실적은 2006년 회사 창립 이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 모든 항목에서 역대 최대치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실적을 놓고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뒤 중·단거리 노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하는 전략이 유효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항공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항공의 일본 노선 수송객 수는 356만9173명으로 전체 수송객의 20%를 차지했다. 일본 노선을 운영하는 모든 항공사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이다.
제주항공은 괌·사이판 노선에서는 46만1670명, 필리핀 노선에서는 82만4463명을 수송했다. 각각 전체 수송객의 38.9%, 30.3%에 이르는 점유율이다.
제주항공은 앞으로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해 기단을 현대화하고 항공기 운용 리스 방식 대신 직접 구매 방식을 적용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