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카드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르면 명절 때 비대면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10대 이상 비중이 2019년 설 28.5%에서 2022년 설 43.7%로 15.2%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가 내놓은 자사 고객 소비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명절 전날 반찬 전문점 이용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20년과 2022년의 명절 전날 반찬전문점 이용건수 증가율은 2020년 설 12.5%, 추석 15.9%, 2022년 설 21.0% 등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됐던 2021년에는 설 4.5%, 추석 2.2% 등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이때에도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
반찬 전문점을 이용하는 50대 이상 비중도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이용고객에서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설 28.5%에서 2022년 설 41.7%로 13.2%포인트 높아졌다.
이용고객 연령대 비율은 2019년 설 20대(23.3%), 30대(23.7%), 40대(24.5%), 50대(19.0%), 60대 이상(9.5%) 등에서 올해 설 20대(10.9%), 30대(20.8%), 40대(26.6%), 50대(26.0%), 60대 이상(15.7%) 등으로 바뀌었다.
명절 때 비대면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50대 이상 비중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설 직전 5일 동안 비대면 선물 이용건수의 연령별 비중은 50대 5.7%, 60대 이상 0.8% 등으로 50대 이상 비중이 저조했는데 올해 설에는 이 비중이 각각 12.8%, 2.4%로 크게 높아졌다.
올해 설 기준 상품권형 비대면 선물의 금액은 3만 원(28.4%)이 가장 많았다. 4만~5만 원(23.7%), 6만~10만 원(17.5%), 2만 원(22.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관계자는 “전통을 지키면서도 필요하면 전문업체의 도움을 받아 수고를 덜고, 과하지 않은 선에서 간편한 방법으로 서로 마음을 주고받는 방향으로 명절을 보내는 모습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