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은행의 배상비율을 높여달라고 요구했다.
파생결합펀드 피해자대책위원회는 16일 오후 금감원과 면담을 앞두고 기자회견을 열어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부담할 배상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피해자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금감원과 면담을 통해 배상기준 개요, 자율조정 절차를 놓고 설명을 들었다. 이번 면담에는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파생결합펀드 투자자들이 참석했다.
대책위는 두 은행이 배상비율 가중 및 감경사유를 투자자와 협의하고 공개해야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또 금감원이 대책위와 협의를 통해 세부기준에 요구사항을 반영해야 한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
파생결합펀드 피해자대책위원회는 16일 오후 금감원과 면담을 앞두고 기자회견을 열어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부담할 배상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 파생결합펀드 피해자대책위원회는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와 관련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피해자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금감원과 면담을 통해 배상기준 개요, 자율조정 절차를 놓고 설명을 들었다. 이번 면담에는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파생결합펀드 투자자들이 참석했다.
대책위는 두 은행이 배상비율 가중 및 감경사유를 투자자와 협의하고 공개해야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또 금감원이 대책위와 협의를 통해 세부기준에 요구사항을 반영해야 한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