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아가 최근 경제상황의 책임 소재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3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종전 선언만 목표로 삼지 말고 경제 회복도 목표로 삼아주길 대통령께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성태 "경제회복도 목표로 삼아야". 홍영표 "경제 체질개선 과정"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왼쪽)와 조배숙 민주평화당 대표.


김 대행은 “내용은 없고 말로만 하는 립서비스 정치에 경제는 멍들고 국민들은 한숨만 늘어가는 게 현실”이라며 “나라 살림을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식으로 하다가는 나중에 더 큰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명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배숙 민주평화당 대표는 13일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 모두발언에서 “국내 경기는 갈수록 나빠지고 고용은 절벽”이라며 “그런데 민주당 지도부는 고용 부진을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실정 탓이며 규제 개혁이 안 되는 이유는 야당의 비협조 때문이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조 대표는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표방하고 추경을 두 번씩이나 편성해 혈세를 쏟아부었다”며 “그러고도 이제 와서 고용 쇼크를 이전 정부 탓으로 돌리는 것은 비겁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현재 경제상황은 구조적 문제라고 바라봤다.

홍 원내대표는 “신규 일자리 감소는 단기적 요인으로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며 “저출산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 악화 등 구조적 문제들에 대응하지 못해 나타난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이러한 한국경제 체질 개선의 과정”이라며 “소득주도성장 때문에 고용 쇼크가 발생했다는 지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