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과 미국 무역협정에 포함된 조선업 투자 확대 계획이 실제로 이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다. 공급망과 시간 등 문제를 고려하면 투자 약속을 실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 맨해튼 인근을 지나는 컨테이너선 사진.
그러나 미국의 조선업 인프라 부족 및 공급망 차질 가능성을 고려하면 오랜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어 협력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일 “미국이 조선업 경쟁력을 되찾는 길은 쉽지 않은 여정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투자 약속이 실현될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한국은 최근 트럼프 정부와 체결한 무역협정에서 자국 조선사들이 미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1500억 달러(약 210조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수입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대가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조선업 활성화 계획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내용이다.
조선업은 한국이 전 세계에서 중국에 이어 2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한국 조선업은 중국의 세계 시장 지배력 확대를 억제하겠다는 미국 정부의 목표 달성을 도울 수 있는 독보적 위치에 놓여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한국이 실제로 미국 조선업 부흥에 기여하는 범위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비판이 고개를 든다.
해운 컨설팅업체 베스푸치 마리타임의 창업자 라스 젠슨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대규모 투자 발표는 비교적 쉽지만 이를 실제로 이행하는 일은 별도의 문제”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아닌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를 진행하는 주체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이들을 완벽하게 통제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한국 조선사들이 정부 방침에 따라 미국에 실제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고 실행할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의미다.
중국 투자회사 중신선물 연구원은 한국이 고부가 선박 시장에서 우수한 역량을 갖춘 만큼 미국 조선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다고 바라봤다.
그러나 미국 조선소의 생산 능력 한계와 공급망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면 이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규 조선소 건설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한데다 선박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와 부품, 인력 등을 단기간에 대량으로 수급할 수 있을지 분명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부는 10월부터 중국에서 건조하거나 중국이 운영하는 선박에 높은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러한 정책이 이미 중국 조선사의 신규 수주 감소로 이어지면서 한국 조선사들에 반사이익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중신선물 연구원은 “미국 항만 수수료 정책의 영향은 아직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시장 상황은 선박의 실제 수요 상황에 따라 흘러갈 것”이라는 관측을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