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은행 수익성 저하 가능성에 대비해 자본비율과 여신 관리 현황 점검을 중점적으로 시행한다.

금감원은 11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2025년도 은행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열고 올해 주요 감독·검사 방향을 설명했다.
 
금감원 "올해 은행 수익성 저하 가능성에 자본비율·여신관리현황 중점 점검"

▲ 금융감독원이 올해 은행들의 자본비율과 여신관리현황 점검에 집중한다.


올해 금감원은 실물경제 어려움에 따른 취약부문 부실화, 금리인하 현실화 시 은행의 수익성 저하 가능성에 대응해 자본비율과 여신 취급·관리 현황을 중점 지도·점검하기로 했다.

가계부채 등 자산·상품 쏠림에 따른 리스크 감독을 강화하고 무역분쟁과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외화유동성 대응 능력 제고를 유도한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가계대출은 분기별 점검 등으로 관리체계를 정교화하고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등으로 여신심사 관행 건전화를 추진한다.

금감원은 내부통제의 질적 제고를 위해 책무구조도, 내부통제 혁신방안의 안착도 지도한다.

박충현 금감원 은행부문 부원장보는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은행 경영 환경이 어려워지는 상황”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감독당국과 은행권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