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월 외환보유액이 4년9개월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25년 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092억1천만 달러(약 591조7176억 원)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18억 달러 줄었고 2020년 5월(4073억1천만 달러) 이후 최저 수준이다.
2월 미국 달러화지수는 약 0.5%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달러화 약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증가했지만 국민연금과 외환스왑(통화 교환의 형식을 이용해 단기적으로 자금을 융통하는 계약) 규모 확대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3573억8천만 달러로 1월 말보다 46억4천만 달러 줄었다.
반면 예치금은 280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27억1천만 달러 늘어난 것이다.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SDR)은 148억4천만 달러로 1억3천만 달러 증가했다.
국제통화지금 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융자 등으로 보유하게 된 청구권)은41억9천만 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한국 외환보유액 규모는 1월 말 기준 세계 9위 수준을 유지했다.
주요국 외환보유액을 살펴보면 중국이 3조2090억 달러(67억 달러 증가)로 보유량이 가장 많았다.
일본은 1조2406억 달러(99억 달러 증가) 스위스 9173억 달러(79억 달러 증가) 인도 6306억 달러(51억 달러 감소) 러시아 6208억 달러(117억 달러 증가) 대만 5776억 달러(9억 달러 증가) 사우디아라비아 4343억 달러(23억 달러 감소) 홍콩 4215억 달러(전달과 같음) 독일 4003억 달러(224억 달러 증가)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박혜린 기자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25년 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092억1천만 달러(약 591조7176억 원)로 집계됐다.

▲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4100억 달러 아래로 내려가면서 4년9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연합뉴스>
전달보다 18억 달러 줄었고 2020년 5월(4073억1천만 달러) 이후 최저 수준이다.
2월 미국 달러화지수는 약 0.5%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달러화 약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증가했지만 국민연금과 외환스왑(통화 교환의 형식을 이용해 단기적으로 자금을 융통하는 계약) 규모 확대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3573억8천만 달러로 1월 말보다 46억4천만 달러 줄었다.
반면 예치금은 280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27억1천만 달러 늘어난 것이다.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SDR)은 148억4천만 달러로 1억3천만 달러 증가했다.
국제통화지금 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융자 등으로 보유하게 된 청구권)은41억9천만 달러로 전달과 같았다.
한국 외환보유액 규모는 1월 말 기준 세계 9위 수준을 유지했다.
주요국 외환보유액을 살펴보면 중국이 3조2090억 달러(67억 달러 증가)로 보유량이 가장 많았다.
일본은 1조2406억 달러(99억 달러 증가) 스위스 9173억 달러(79억 달러 증가) 인도 6306억 달러(51억 달러 감소) 러시아 6208억 달러(117억 달러 증가) 대만 5776억 달러(9억 달러 증가) 사우디아라비아 4343억 달러(23억 달러 감소) 홍콩 4215억 달러(전달과 같음) 독일 4003억 달러(224억 달러 증가)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