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농심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농심의 작년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못미친 것으로 추정되는 점과 올해 내수 소비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됐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55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낮춰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농심은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8895억 원, 영업이익 31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3.8% 늘고, 영업이익은 20% 줄어드는 것이다.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컨센서스) 428억 원을 밑도는 수치다.
농심은 작년 4분기 국내 스낵과 음료 판매 부진이 툼바 등 면츄 신제품 출시 효과와 유럽, 동남아시아 등 수출 호조로 상쇄돼 매출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팜유 가격 상승, 매출에누리, 인건비 등 증가로 이익 감소세는 지속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테현 연구원은 “올해 농심은 국내외 신라면 툼바 시장 안착 여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툼바 국내 월간 매출은 약 60억 원으로 라면 신제품 출시 초기 월 평균 판매액이 30~40억 원과 비교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현재 미국 2공장 일부 신규 라인에서 툼바를 생산해 작년 11월부터 아시안마켓에서 판매(월 20억 원) 중”이라며 “올 3~7월 중 월마트 등 메인스트림 입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심은 툼바 출시 효과에 따라 미국 판매 실적을 개선하고, 중국에서도 유베이와 파트너십을 강화해 신라면 툼바 등 신제품 출시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는 “농심은 작년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올해도 내수 소비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목표주가를 낮춰잡은 이유를 설명했다. 허원석 기자
농심의 작년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못미친 것으로 추정되는 점과 올해 내수 소비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됐다.

▲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기대치에 못미친 것으로 추정된 영향을 받아 20일 농심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55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낮춰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농심은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8895억 원, 영업이익 31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3.8% 늘고, 영업이익은 20% 줄어드는 것이다.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컨센서스) 428억 원을 밑도는 수치다.
농심은 작년 4분기 국내 스낵과 음료 판매 부진이 툼바 등 면츄 신제품 출시 효과와 유럽, 동남아시아 등 수출 호조로 상쇄돼 매출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팜유 가격 상승, 매출에누리, 인건비 등 증가로 이익 감소세는 지속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테현 연구원은 “올해 농심은 국내외 신라면 툼바 시장 안착 여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툼바 국내 월간 매출은 약 60억 원으로 라면 신제품 출시 초기 월 평균 판매액이 30~40억 원과 비교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현재 미국 2공장 일부 신규 라인에서 툼바를 생산해 작년 11월부터 아시안마켓에서 판매(월 20억 원) 중”이라며 “올 3~7월 중 월마트 등 메인스트림 입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심은 툼바 출시 효과에 따라 미국 판매 실적을 개선하고, 중국에서도 유베이와 파트너십을 강화해 신라면 툼바 등 신제품 출시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는 “농심은 작년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올해도 내수 소비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목표주가를 낮춰잡은 이유를 설명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