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가 영리기업 중심의 지배구조 개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법률 및 규제 관련 리스크를 안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오픈AI 대표 서비스 챗GPT 이미지.
비영리법인 관련법에 따라 이러한 형태의 전환이 차단될 수 있고 오픈AI의 인공지능 시장 독과점을 우려한 관계당국이 외부 투자에 제동을 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포스트는 29일(현지시각) “오픈AI는 챗GPT를 출시한 이래로 인공지능 열풍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인식돼 왔다”며 “그러나 이런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다”고 보도했다.
오픈AI 설립 초반부터 참여해 왔던 주요 경영진과 임원들이 최근 연이어 회사를 떠나고 있는 데다 영리기업 전환 가능성까지 불거지며 내부 분위기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오픈AI는 비영리법인이 영리법인을 지배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수익 창출이나 외부 투자 유치에 제약을 받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오픈AI 경영진이 최근 회의에서 영리기업으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는 발언을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외부에서 더 적극적으로 투자를 받기 위한 목적이다.
오픈AI는 최근 수십억 달러의 자금 조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투자회사 타이거글로벌매니지먼트 등이 오픈AI에 자금을 댈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러한 계획이 오픈AI에 새로운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전에도 오픈AI가 변화를 추진할 때마다 크고 작은 사건들이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오픈AI가 샘 올트먼 CEO를 해임한 뒤 며칠만에 복귀가 결정되고 이사회 구성원이 대거 교체된 사례와 이를 전후로 대부분의 창립 멤버가 회사를 떠난 일이 대표적이다.
오픈AI 인공지능 기술 및 서비스와 관련해서도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는 언론사 및 콘텐츠 기업과 소송, 정보 보안에 관련한 내부고발 등이 계속되며 바람 잘 날 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만약 오픈AI가 비영리법인에서 영리기업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큰 변화에 시동을 건다면 내부 구성원들 사이 마찰이나 여론 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샘 올트먼 오픈AI CEO.
비영리법인 관련법이 이러한 행위를 제한하고 있어 법적 리스크를 피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오픈AI가 외부 IT기업에서 투자를 유치하는 일도 독과점 가능성을 우려한 각국 반독점규제 당국의 장벽에 부딪힐 가능성이 거론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국가의 관련당국이 최근 대형 IT기업을 겨냥한 조사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오픈AI에 대규모 투자를 주의깊게 살펴 볼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오픈AI에 자금 출자는 인공지능 관련 반독점 조사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며 자금을 출자하는 기업의 주주들도 인공지능 투자 확대에 반대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애플은 오픈AI에 대규모 출자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이런 방침을 최근 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여러 요소를 고려한 데 따른 결정으로 파악된다.
오픈AI의 기업가치는 현재 1500억 달러(약 196조 원)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맞먹는 수준이다.
그러나 오픈AI가 핵심 서비스인 챗GPT 이외에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마련할 뚜렷한 수익 모델을 증명하지 못 하고 있다는 약점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인공지능 중심의 경제는 아직 대부분이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태”라며 “그에 비해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은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