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에 4월에도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8일 “전날 원/달러 환율이 장중 연고점을 넘어서는 등 달러 강세가 좀처럼 끝나지 않고 있다”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까지는 원/달러 환율의 상방을 더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달러 강세 지속을 전망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꼽혔다.
이 연구원은 “현재로써는 고용과 물가가 예상에 부합한다 하더라도 연간 3회 기준금리 인하가 기대할 수 있는 최대치다”며 “반면 물가 흐름이 시장 예상을 상회할 경우 금리인하 기대는 더 후퇴할 수 있어 전반적 위험이 한 쪽으로 쏠려 있는 상황이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경기 부진 등으로 약세 압력을 받고 있는 위안화와 원화의 동조화가 심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4월 원/달러 환율 상한으로는 1360원을 제시했다. 1360원은 지난해 10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최고치에 이르렀을 때 환율 수준이다.
미국 고용과 인플레이션의 추세적 둔화도 여전히 유효한 만큼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진입했다”며 “여름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연착륙에 대한 확신이 선다면 원화 약세도 점차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8일 “전날 원/달러 환율이 장중 연고점을 넘어서는 등 달러 강세가 좀처럼 끝나지 않고 있다”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까지는 원/달러 환율의 상방을 더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 4월에도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달러 강세 지속을 전망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꼽혔다.
이 연구원은 “현재로써는 고용과 물가가 예상에 부합한다 하더라도 연간 3회 기준금리 인하가 기대할 수 있는 최대치다”며 “반면 물가 흐름이 시장 예상을 상회할 경우 금리인하 기대는 더 후퇴할 수 있어 전반적 위험이 한 쪽으로 쏠려 있는 상황이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경기 부진 등으로 약세 압력을 받고 있는 위안화와 원화의 동조화가 심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4월 원/달러 환율 상한으로는 1360원을 제시했다. 1360원은 지난해 10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최고치에 이르렀을 때 환율 수준이다.
미국 고용과 인플레이션의 추세적 둔화도 여전히 유효한 만큼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진입했다”며 “여름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연착륙에 대한 확신이 선다면 원화 약세도 점차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