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플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헤드셋 제품이 시장 판도를 바꿔낼 만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애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화면.
메타의 가상현실 기기가 판매 확대에 고전하고 있는 반면 애플은 편의성과 활용성 측면에서 훨씬 뛰어난 제품을 선보일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야후파이낸스는 7일 “가상현실 시장은 2022년 들어 부진한 한 해를 보였다”며 “그러나 애플의 제품은 주류시장에 진입하며 반전 계기를 만들어낼 것으로 평가받는다”고 보도했다.
시장 조사기관 NDP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가상현실 하드웨어 매출은 11억 달러(약 1조4천억 원) 규모로 2021년과 비교해 2% 줄어들었다.
가상현실 헤드셋 시장에서 82%의 점유율을 확보한 메타가 ‘메타 퀘스트’ 하드웨어 판매량을 늘리는 데 고전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메타는 최근 주요 헤드셋 제품의 가격을 최대 33% 낮추며 판매 반등을 노리고 있다. 그러나 수요를 확보하는 데 여전히 한계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는다.
시장 조사기관 IDC는 야후파이낸스를 통해 “가상현실 시장은 아직 스마트폰과 같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했다”며 “구매자들이 제품을 보고 곧바로 수요를 느끼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애플이 이르면 연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헤드셋 신제품은 메타의 제품과 확실히 다른 반응을 얻을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졌다.
IDC는 “애플의 시장 진입은 소비자들이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기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낼 것”이라며 “해당 제품이 본격적으로 보급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애플은 아직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헤드셋 출시와 관련해 공식 발표를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블룸버그 등 외신을 통해 해당 제품이 고성능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고글 형태의 기기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콘텐츠를 모두 구동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전해졌다.
IDC는 “애플은 IT업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기업으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기의 편의성과 활용성 측면에서 소비자들에 장점을 증명할 것”이라며 “시장 판도를 완전히 바꿔낼 수도 있다”고 바라봤다.
애플이 아이폰과 애플TV 등 하드웨어, 앱스토어와 서비스 등으로 강력한 생태계 효과를 갖추고 있다는 점도 해당 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혔다.
IDC는 애플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헤드셋이 소비자뿐 아니라 기업을 대상으로도 수요를 창출하는 데 성과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애플이 그동안 아이폰 등 하드웨어 사업에서 기업 고객을 공략하는 노하우를 충분히 쌓은 만큼 새로운 하드웨어를 출시하고 판매하는 데도 장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까지는 앞으로 수 년의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가상현실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콘텐츠 다양성과 사용경험 및 편의성 개선 등 앞으로 발전을 추진해야 할 영역이 많다는 것이다.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도 야후파이낸스를 통해 “가상현실과 같은 시장은 단일 기업이 주도해 성장을 이끌기 어려운 시장에 해당한다”며 “IT업계 전반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