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이 4월 말 미국을 국빈 방문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블룸버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을 백악관 국빈만찬에 초청하는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관련 사안에 정통한 복수 관계자들은 “윤 대통령의 방미 시점은 오는 4월 말로 계획된 상태지만 구체적 시기는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만찬에서 공급망과 안보 현안에 관한 논의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한국과 미국이 중국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 구축과 안보 문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전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관해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하게 된다면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이어 세계 지도자 중 두 번째 국빈이 된다. 김대철 기자
16일 블룸버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을 백악관 국빈만찬에 초청하는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 블룸버그는 16일 조 바이든(사진 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올해 4월 윤석열 대통령을 백악관 국빈만찬에 초청하는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블룸버그에 따르면 관련 사안에 정통한 복수 관계자들은 “윤 대통령의 방미 시점은 오는 4월 말로 계획된 상태지만 구체적 시기는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만찬에서 공급망과 안보 현안에 관한 논의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한국과 미국이 중국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 구축과 안보 문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전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관해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하게 된다면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이어 세계 지도자 중 두 번째 국빈이 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