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웨이브를 비롯한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SK텔레콤의 기업가치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김화재 이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19일 SK텔레콤 목표주가 36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18일 SK텔레콤 주가는 24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 연구원은 “SK텔레콤은 우량 자회사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오르고 있어 SK텔레콤의 기업가치도 현재 20조 원에서 31조 원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TV(IPTV)와 인터넷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상장폐지 전 600억 원 수준에서 1조8천억 원으로 3배 이상 커졌다. SK브로드밴드는 SK텔레콤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 뒤 2015년 6월 상장폐지됐다.
11번가는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며 SK텔레콤 실적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온라인쇼핑몰이 앞으로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11번가의 실적도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웨이브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SK텔레콤의 기업가치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두 연구원은 “웨이브의 사업 확대는 SK텔레콤의 기업가치 상승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유료 가입자를 현재 140만 명에서 500만 명까지 늘리면 웨이브의 기업가치를 최소 1조 원 이상으로 매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은 웨이브의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는데 유료가입자가 500만 명까지 늘어나면 지분을 최대 50%까지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SK텔레콤은 월정액 9만5천 원의 5GX프라임 요금제 이상에서는 웨이브 또는 플로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브를 5G통신 고가요금제 가입자를 유치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SK텔레콤은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8조30억 원, 영업이익 1조261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보다 매출은 6.7%, 영업이익은 4.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현주 기자]
웨이브를 비롯한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SK텔레콤의 기업가치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김화재 이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19일 SK텔레콤 목표주가 36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18일 SK텔레콤 주가는 24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두 연구원은 “SK텔레콤은 우량 자회사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오르고 있어 SK텔레콤의 기업가치도 현재 20조 원에서 31조 원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TV(IPTV)와 인터넷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상장폐지 전 600억 원 수준에서 1조8천억 원으로 3배 이상 커졌다. SK브로드밴드는 SK텔레콤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 뒤 2015년 6월 상장폐지됐다.
11번가는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며 SK텔레콤 실적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온라인쇼핑몰이 앞으로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11번가의 실적도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웨이브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SK텔레콤의 기업가치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두 연구원은 “웨이브의 사업 확대는 SK텔레콤의 기업가치 상승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유료 가입자를 현재 140만 명에서 500만 명까지 늘리면 웨이브의 기업가치를 최소 1조 원 이상으로 매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은 웨이브의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는데 유료가입자가 500만 명까지 늘어나면 지분을 최대 50%까지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SK텔레콤은 월정액 9만5천 원의 5GX프라임 요금제 이상에서는 웨이브 또는 플로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웨이브를 5G통신 고가요금제 가입자를 유치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SK텔레콤은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8조30억 원, 영업이익 1조261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보다 매출은 6.7%, 영업이익은 4.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현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