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마트시티 지피지기 백전불태] UN해비타트의 2022 세계 도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인 56.2%는 도시에 살고 있다. 이 수치는 2050년 68.4%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사람 세 명 중 두 명이 도시에 살게 된다는 의미다.
도시는 이제 인구가 많은 정착지로서 여러 기능이 결합된 생활공간에 그치지 않고 구성원들에게 안전, 이동성, 효율성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될 뿐 아니라 기후변화와 인구감소 등 다양한 문제의 솔루션으로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안으로도 여겨진다.
이러한 도시의 가능성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등 IT기술과 결합한 스마트시티로 구체화된다. 이미 전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이 진행되고 있고 시민들의 삶에 그 효과가 녹아들어가고 있는 사례도 적지 않다.
우리나라도 최고 수준의 IT 기술력과 도시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산업 경쟁력을 높이 쌓아올렸다. 최근에는 민관이 힘을 모아 K스마트시티를 해외건설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수출 상품이자 한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현장부터 스마트시티 도입이 예상되는 수출후보지역까지 탐사하고 스마트시티 산업의 현실 경쟁력과 잠재력을 분석 취재했다.

1부 이미 펼쳐진 미래 스마트시티, 인류의 고민을 푼다
2부 한국의 스마트시티, 어디까지 와 있나
3부 도시개발도 이제는 콘텐츠, 뻗어나가는 K도시
4부 한국의 새 경쟁력이자 도약대, K스마트시티


[비즈니스포스트] 몽골이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 분산을 목표로 하는 도시 개발을 본격화한다.

몽골 수도인 울란바토르에는 2023년 말 기준으로 173만여 명이 거주한다. 전체 인구 350만 명의 절반이 수도에 몰려있는 것이다.

울란바토르는 당초 인구 50만 규모로 계획됐다. 3배가 넘는 인구가 집중되면서 자연스럽게 과밀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울란바토르에서는 주거 부족, 교통 체증, 전력·수자원 등 인프라 부족 등이 주요 도시 문제로 꼽힌다.

이에 몽골 정부는 장기개발계획 ‘비전 2050’에서 핵심 목표 가운데 하나로 ‘울란바토르 및 위성도시 건설’을 설정했다. 그리고 울란바토르와 위성도시를 ‘살기 편하고 환경친화적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재 몽골에서는 야르막 신도시 개발과 함께 ‘쿠시그 밸리(Khushig Valley) 프로젝트’, ‘오르혼 밸리(Orkhon Valley) 프로젝트’ 등 여러 신도시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도시개발을 위한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한 몽골은 한국과 협력을 통해 길을 찾고 있다.

몽골에서 가장 가까운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의 신도시 및 스마트시티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몽골에게 한국은 도시개발 인력양성 분야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지원하고 서울대학교가 시행하고 있는 ‘몽골과학기술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설립 및 도시개발 전문인력 역량강화사업(S-Quad Project)’은 몽골과 한국의 도시개발 전문인력 협력의 대표적 사례다.

이 밖에도 경기주택도시공사(GH), 부천도시공사 등 국내 기관들이 울란바토르와 스마트시티 관련 협력에 나서고 있다.

한국의 역량이 전해질 몽골의 스마트시티 개발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자세한 이야기는 채널후 영상과 다음 비즈니스포스트 보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상유 기자

● 과밀화된 수도 울란바토르, 스마트시티 위성도시로 해결 모색하는 몽골
● 도시화에 속도 내는 몽골, 도시개발 노하우도 인력 양성도 한국에게 배운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