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글과컴퓨터(한컴)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문서 작성 도구 ‘한컴어시스턴트’ 베타 버전을 출시하고, 이용자 대상으로 개념 증명(PoC)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PoC는 사업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소규모 테스트 등을 말한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사용자가 자연어로 명령하면 AI 모델을 활용해 내용을 이해하고 명령 의도를 분석해 목적에 맞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도구다. 기존 한컴오피스 패키지 최신 버전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자연어 명령을 인식해 빠른 문서 작성을 돕는 ‘챗봇’ △프롬프트 엔진을 최적화한 ‘AI 허브’ △폐쇄망 환경을 지원하는 문서 작성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한컴 sLLM’ 등으로 구성됐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챗GPT 등 외부망 연결이 필요한 LLM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문서 작성을 지원한다. 회사가 제공하는 다른 프로그램 한컴피디아를 연동하면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문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해 정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컴은 이미 경기도청, 한국전력공사 등과 한컴어시스턴트 PoC를 진행하고 있다. 김지영 기자
PoC는 사업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소규모 테스트 등을 말한다.

▲ 한글과컴퓨터는 28일 인공지능(AI) 활용 문서 작성 도구 ‘한컴어시스턴트’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한글과컴퓨터>
한컴어시스턴트는 사용자가 자연어로 명령하면 AI 모델을 활용해 내용을 이해하고 명령 의도를 분석해 목적에 맞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도구다. 기존 한컴오피스 패키지 최신 버전과 연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자연어 명령을 인식해 빠른 문서 작성을 돕는 ‘챗봇’ △프롬프트 엔진을 최적화한 ‘AI 허브’ △폐쇄망 환경을 지원하는 문서 작성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한컴 sLLM’ 등으로 구성됐다.
한컴어시스턴트는 챗GPT 등 외부망 연결이 필요한 LLM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문서 작성을 지원한다. 회사가 제공하는 다른 프로그램 한컴피디아를 연동하면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문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해 정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컴은 이미 경기도청, 한국전력공사 등과 한컴어시스턴트 PoC를 진행하고 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