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14년 만에 자사주를 소각한다.
KT는 10일부터 신탁계약 방식을 통해 3천억 원의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 KT의 자사주 매입은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이다.
자사주 매입은 2023년 8월9일까지 진행한다.
KT는 매입한 자사주 가운데 1천억 원 규모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자사주 소각은 2009년 이후 14년 만이다.
KT는 자사주 소각과 함께 배당금 확대로 주주친화적인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KT는 2020년부터 별도 조정 순이익의 50%를 배당하는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 배당금은 2021년보다 50원 증가한 196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5.5%로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인상했다.
KT 주식의 1주당 배당금은 2019년 1100원, 2020년 1350원, 2021년 1910원, 2022년 1960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나병현 기자
KT는 10일부터 신탁계약 방식을 통해 3천억 원의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 KT의 자사주 매입은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이다.

▲ KT가 3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그 가운데 1천억 원의 주식을 소각한다.
자사주 매입은 2023년 8월9일까지 진행한다.
KT는 매입한 자사주 가운데 1천억 원 규모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자사주 소각은 2009년 이후 14년 만이다.
KT는 자사주 소각과 함께 배당금 확대로 주주친화적인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KT는 2020년부터 별도 조정 순이익의 50%를 배당하는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 배당금은 2021년보다 50원 증가한 196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시가배당율은 5.5%로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인상했다.
KT 주식의 1주당 배당금은 2019년 1100원, 2020년 1350원, 2021년 1910원, 2022년 1960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