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은행들이 올해 상반기까지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에 약 5900억 원을 사용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은행권이 민생금융지원방안의 일환으로 실시한 자율프로그램에서 모두 5918억 원을 집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집행 목표금액인 6156억 원의 96% 수준이다.
시기를 나눠보면 2024년에 5278억 원, 2025년 상반기에 640억 원을 집행했다.
민생금융지원방안은 공통프로그램인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환급(캐시백)과 은행별로 시행하는 자율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자율프로그램에는 모두 15개 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자율프로그램 가운데 소상공인·소기업 지원에는 2020억 원이 사용됐다.
청년·금융취약계층 지원에는 1594억 원,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에는 2304억 원이 집행됐다.
은행연합회는 당초 자율프로그램 목표금액이 5971억 원이었으나 공통프로그램 미집행금액 185억 원을 더해 6156억 원이 됐다고 설명했다. 공통프로그램은 2025년 상반기로 종료됐다.
은행권은 하반기에도 자율프로그램 잔여금액 390억 원을 적극 집행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소상공인 등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에 집중 지원해 연내 집행 완료를 목표로 한다. 조혜경 기자
전국은행연합회는 은행권이 민생금융지원방안의 일환으로 실시한 자율프로그램에서 모두 5918억 원을 집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집행 목표금액인 6156억 원의 96% 수준이다.

▲ 은행들이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으로 5918억 원을 집행했다.
시기를 나눠보면 2024년에 5278억 원, 2025년 상반기에 640억 원을 집행했다.
민생금융지원방안은 공통프로그램인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환급(캐시백)과 은행별로 시행하는 자율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자율프로그램에는 모두 15개 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자율프로그램 가운데 소상공인·소기업 지원에는 2020억 원이 사용됐다.
청년·금융취약계층 지원에는 1594억 원,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에는 2304억 원이 집행됐다.
은행연합회는 당초 자율프로그램 목표금액이 5971억 원이었으나 공통프로그램 미집행금액 185억 원을 더해 6156억 원이 됐다고 설명했다. 공통프로그램은 2025년 상반기로 종료됐다.
은행권은 하반기에도 자율프로그램 잔여금액 390억 원을 적극 집행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소상공인 등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에 집중 지원해 연내 집행 완료를 목표로 한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