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정부가 양자컴퓨터 기업 지원에 반도체 보조금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IBM의 양자컴퓨터 시제품 사진. <연합뉴스>
바이든 정부에서 반도체 기업들에 약속한 지원금이 미국의 국익을 위해 다른 용도로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며 삼성전자가 이를 확보할 수 있을지도 갈수록 불안해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24일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주요 양자컴퓨터 기업 경영진과 재정적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상무부는 국가 안보에 필수로 꼽히는 양자컴퓨터 프로젝트 및 관련 업체를 지원하는 데 반도체 지원법(CHIPS Act)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도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미국 정부는 재정 지원에 상응하는 대가를 기업들에 요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최근 트럼프 정부에서 인텔이나 희토류 업체 지분을 받고 보조금을 제공한 형태의 거래가 양자컴퓨터 관련 업체에도 재현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및 보안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기술 우위를 지키기 위해 관련 산업을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을 전했다.
중국 정부는 이미 양자컴퓨터 프로젝트에 국가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해당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미국은 양자컴퓨터 기술이 향후 중국을 비롯한 국가의 군사 기밀정보 또는 금융거래 정보, 개인정보 탈취에 활용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자국 기업들을 육성해 대응하는 방안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 반도체 보조금은 바이든 정부에서 삼성전자와 TSMC, 인텔과 SK하이닉스 등 현지 생산 설비나 연구센터를 건설하는 기업에 제공하는 자금이다.
그러나 트럼프 정부는 출범 직후 바이든 행정부가 약속한 지원금 규모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며 이와 관련한 조사 및 검토 절차에 착수했다.
해당 자금이 양자컴퓨터를 비롯해 다른 산업 분야를 지원하는 데 흘러나간다면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이 약속된 만큼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해질 수밖에 없다.
블룸버그는 양자컴퓨터 기술이 실제로 현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자컴퓨터 분야 선두로 꼽히는 구글은 이를 5년 안에 의학 및 소재과학 분야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두고 있다. 김용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