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은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가 올해 2월 발족한 ‘MIT 생성형 인공지능(GenAI) 컨소시엄’에 창립멤버로 참여해 GenAI 기술의 상용화와 산업별 응용 방안을 공동 연구한다고 4일 밝혔다.
MIT GenAI 컨소시엄은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에 미칠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산학 협력 기구이다.
컨소시엄은 연구 결과물을 대중에 공개해 AI 스타트업들이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어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컴소시엄 창립 멤버는 SK텔레콤을 비롯해 오픈AI, 코카콜라, 인도 타타그룹, 미국 반도체 회사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글로벌 벤처캐피탈 TWG 글로벌 홀딩스 등 모두 6곳이다.
SK텔레콤과 오픈AI 등 창립 멤버들은 정기적 회의체를 통해 각 회사가 보유한 AI 경쟁력과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SK텔레콤은 그룹의 AI 기술 컨트롤타워 SK AI R&D 센터와 ICT,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사업 분야에서 MIT와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를 비롯해 △AI 데이터센터 △제조 AI △피지컬 AI △Bio AI 등 차세대 AI 분야를 연구과제의 우선순위로 두고 실질적 성과를 창출한다.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겸 MIT 최고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SK텔레콤을 비롯한 각 산업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학계를 연결하는 이상적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은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은 “MIT GenAI 컨소시엄의 창립 멤버로 세계 최고 수준의 MIT 교수진 및 글로벌 초일류 기업들과 함께 연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최강의 글로벌 파트너십에 기반해 SK AI R&D 센터를 중심으로 SK 그룹의 AI 역량을 총결집하고,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 AI, 제조·바이오 분야에서의 AI 융합 등 버티컬 AI에 기반 한 차세대 AI 연구과제 진행으로 산업 현장의 AI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MIT GenAI 컨소시엄은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에 미칠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산학 협력 기구이다.
▲ 4일 SK텔레콤은 MIT 생성형AI 컨소시엄에 창립멤버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MIT 전경. < SK텔레콤 >
컨소시엄은 연구 결과물을 대중에 공개해 AI 스타트업들이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어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컴소시엄 창립 멤버는 SK텔레콤을 비롯해 오픈AI, 코카콜라, 인도 타타그룹, 미국 반도체 회사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글로벌 벤처캐피탈 TWG 글로벌 홀딩스 등 모두 6곳이다.
SK텔레콤과 오픈AI 등 창립 멤버들은 정기적 회의체를 통해 각 회사가 보유한 AI 경쟁력과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SK텔레콤은 그룹의 AI 기술 컨트롤타워 SK AI R&D 센터와 ICT,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사업 분야에서 MIT와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를 비롯해 △AI 데이터센터 △제조 AI △피지컬 AI △Bio AI 등 차세대 AI 분야를 연구과제의 우선순위로 두고 실질적 성과를 창출한다.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겸 MIT 최고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SK텔레콤을 비롯한 각 산업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학계를 연결하는 이상적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은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은 “MIT GenAI 컨소시엄의 창립 멤버로 세계 최고 수준의 MIT 교수진 및 글로벌 초일류 기업들과 함께 연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최강의 글로벌 파트너십에 기반해 SK AI R&D 센터를 중심으로 SK 그룹의 AI 역량을 총결집하고,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 AI, 제조·바이오 분야에서의 AI 융합 등 버티컬 AI에 기반 한 차세대 AI 연구과제 진행으로 산업 현장의 AI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