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관련 기업인 우진과 오르비텍이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따른 중소 원전업계 지원대책 마련의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증권업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코스닥 상장기업 우진과 오르비텍이 정부의 원전 해체와 방사능 폐기물 분야 예산과 금융지원 강화 등에 힘입어 사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우진 로고(위쪽)와 오르비텍 로고(아래쪽) |
우진은 원자력발전소용 계측장비 제조전문 기업으로 국내 모든 원자력발전소에 계측장비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우진은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발맞춰 방사능 오염 제거사업과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를 처분하는 폐로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진은 방사성 물질 처리와 정화 기술을 보유한 원자력환경기술개발(NEED)을 자회사로 합병하고 원자로 폐로사업을 위해 건설사 인수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방사능 오염 물질 가운데 가장 위험하다고 알려진 세슘을 95%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한국과 일본에 특허등록 하는 등 앞선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꼽힌다.
서충우 SK증권 연구원은 “우진은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따라 방사능 오염 제거사업과 원자력 폐로사업을 중장기적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특히 방사능 오염 제거사업은 수천억 원 이상의 새로운 신규시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르비텍은 국내 원자력 발전소를 대상으로 한 방사선 관리 전문기업으로 정부의 탈원전정책 방향에 맞춰 방사능 오염 제거와 피폭 관리 등 원전 해체와 관련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오르비텍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 계측기 국산화에 성공해 국가기술표준원에 인증을 진행하고 ‘대규모 세슘 오염토양 연속 방사능 측정시스템‘ 등 방사능 관리와 관련한 특허 30여 개를 보유하고 있어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오르비텍은 2018년 기준으로 국내 방사선관리 분야 시장 점유율에서 17%를 보이며 상장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원전산업은 안정성이 중요해 한국수력원자력이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만 참여 가능한 구조로 이미 국내 원자력발전소 방사선 관리 경험을 다수 보유한 오르비텍이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른 사업확대 기회를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혜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정부에서 추정하는 국내 원자력발전 해체시장 규모는 23조 원 이상”이라며 “원전 해체 과정은 최소 8년 이상 방사능 오염 제거와 폐기물 관리작업이 필요해 관련 사업 수행경험이 풍부한 오르비텍이 중장기적으로 실적을 개선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정부는 탈원전정책을 시행으로 중소 원전업계 지원 필요성이 높아진 가운데 연구개발 지원 예산 확대와 금융지원 강화 등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원전 공기업과 중소 협력업체들과 ‘원전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실질적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자력산업 변화에 대응해 2020년 원자력 해체와 방사성 폐기물 분야 예산을 늘리려는 계획을 세웠다.
원자력 해체 분야 예산은 177억 원에서 363억 원으로 105% 늘고 방사성 폐기물 분야 예산은 86억 원에서 204억 원으로 137% 증가한다. 2020년 원자력 연구개발 예산은 1415억 원으로 올해보다 33%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한국수력원자력을 통해 중소협력사 대출 지원금과 대상을 확대한다. 국산화 가능품목에 3년 동안 1천억 원을 투자하려는 계획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