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월드코인’ 생체정보 보안 우려, 12개국 조사 착수 또는 거래 중단

▲ 5월9일 서울시 강남구 무역센터 지하 한 까페에 홍채 인식을 위한 월트코인 오브가 설치돼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샘 올트먼이 도입한 가상화폐 ‘월드코인’이 세계 각국에서 개인정보 관련 논란으로 조사를 받거나 심지어 거래가 중단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샘 올트먼은 월드코인을 가지고 기본소득 실험은 물론 인공지능(AI) 시대에 인간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마련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는데 이를 실현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스페인과 케냐 그리고 홍콩을 포함 12곳 이상의 국가 또는 관할권에서 월드코인을 두고 조사를 벌이거나 거래 차단 명령을 내렸다. 

월드코인이 인식기(오브)에 홍채 사진을 등록하는 대가로 1년 동안 순차적으로 월드코인 76개(최초 10개)를 무상으로 지급해 개인 생체 정보와 관련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규제가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업 주체인 월드코인 파운데이션이 조세피난처로 잘 알려진 케이먼 제도에 법인을 뒀다는 점도 각국 우려를 키운 요소로 지목됐다. 

미국과 같은 경우 규제 환경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들어 월드코인을 초기부터 금지해 오고 있다. 그 뒤 생체 정보 공유를 막으려는 국가들이 늘어 월드코인 사업 확대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 처한 것이다. 

독일 데이터 관련 당국 소속인 마이클 윌 책임자는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홍채와 같은 생체 정보는 마음대로 바꿀 수 없어 이를 악용한 신원 사기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샘 올트먼은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암호화폐를 지급하면 모두에게 기본 소득을 지급할 수 있겠다는 구상에 기반해 2023년 월드코인을 내놓았다. 

AI 기술 발달로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가 가짜 계정이나 자동화 프로그램(봇)으로 뒤덮여 개인 신원을 증명할 기술 필요성이 커졌다는 주장도 월드코인 도입 배경으로 제시됐다. 

월드코인은 출시 650만 명 가량의 사용자를 모았으며 월드코인 전체 가치는 150억 달러(약 20조617억 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실리콘밸리 벤처투자 회사인 안드레센 호로위츠와 코슬라 벤처스 등으로부터 모두 2억4천만 달러(약 3210억 원)를 투자받았다. 

월드코인의 다미엔 키어런 최고 개인정보보호 책임자(CPO)는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조사는 필연적이라 생각하며 각국 규제 기관들과 협력해 우려 사항을 해결해나가고 있다”라고 입장을 냈다. 

월드코인 측은 홍채 정보를 확인 뒤 모든 사진들을 폐기하는 것은 물론 암호화 작업도 수반해 등록자가 누군지 알 수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은 월드코인의 목적 달성 여부가 암호화폐 자체의 흥행에 좌우될 수 밖에 없다는 점도 함께 짚었다. 한국시각으로 19일 오후12시15분 기준 바이낸스를 포함 주요 거래소에서 월트코인 가격은 1.52달러 안팎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