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열린 ‘월드 ADC’에 참석해 신약 후보물질의 연구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고 있는 ‘World ADC 2025(이하 월드 ADC)’에 참가해 항체-약물접합체(이하 ADC) 신약 파이프라인의 항암 효능에 대한 확장된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처음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월드 ADC는 세계 1400여 명의 전문가와 산업 관계자가 모여 최신 ADC 기술과 관련된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셀트리온은 행사 사흘째인 5일 오전 자체 개발 중인 두 신약 파이프라인 ‘CT-P70’과 ‘CT-P71’의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비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CT-P70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의 1차 치료제인 3세대 TKI(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내성 모델에서 세포 생존율 감소 및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CT-P70은 기존에 효능이 입증됐던 비소세포폐암 외에 대장암과 위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도 항암 효능을 유지했다.
다른 후보물질 CT-P71은 요로상피암, 유방암, 전립선암 모델에서, 이미 승인을 받은 ADC 치료제 ‘파드셉(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과 동등한 수준의 항암 효과를 보였다.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CT-P70과 CT-P71은 각각 종양의 성장을 유발하는 cMET(세포성장인자 수용체)과 종양에서 관찰되는 Nectin-4(넥틴-4)를 표적으로 하는 ADC 치료제다.
두 후보물질 모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임상 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고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발표는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ADC 신약 2종의 경쟁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비임상 단계에서 확인된 항암 효능을 기반으로 임상 단계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도출해, 글로벌 항체 신약 분야에서 경쟁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셀트리온은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고 있는 ‘World ADC 2025(이하 월드 ADC)’에 참가해 항체-약물접합체(이하 ADC) 신약 파이프라인의 항암 효능에 대한 확장된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처음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 셀트리온(사진)이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고 있는 '월드 ADC'에 참가해 신약 후보물질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월드 ADC는 세계 1400여 명의 전문가와 산업 관계자가 모여 최신 ADC 기술과 관련된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셀트리온은 행사 사흘째인 5일 오전 자체 개발 중인 두 신약 파이프라인 ‘CT-P70’과 ‘CT-P71’의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비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CT-P70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의 1차 치료제인 3세대 TKI(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내성 모델에서 세포 생존율 감소 및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CT-P70은 기존에 효능이 입증됐던 비소세포폐암 외에 대장암과 위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도 항암 효능을 유지했다.
다른 후보물질 CT-P71은 요로상피암, 유방암, 전립선암 모델에서, 이미 승인을 받은 ADC 치료제 ‘파드셉(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과 동등한 수준의 항암 효과를 보였다.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CT-P70과 CT-P71은 각각 종양의 성장을 유발하는 cMET(세포성장인자 수용체)과 종양에서 관찰되는 Nectin-4(넥틴-4)를 표적으로 하는 ADC 치료제다.
두 후보물질 모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임상 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고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발표는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ADC 신약 2종의 경쟁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비임상 단계에서 확인된 항암 효능을 기반으로 임상 단계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도출해, 글로벌 항체 신약 분야에서 경쟁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