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상혁 옐로모바일 대표(왼쪽)와 김범석 쿠팡 대표. | ||
정보통신(IT)분야에서 성공하는 기업인이 늘어나면서 자수성가형 부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8일 ‘2016년 한국의 50대 부자’를 선정해 발표했는데 자수성가형이 40%에 이르렀다. 10년 전 포브스의 발표 때 18%보다 2배 이상 늘었다.
포브스는 한국의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부자로 이상혁 옐로모바일 대표와 김범석 쿠팡 대표를 들었다.
이상혁 대표는 재산 10억5천만 달러(약 1조2천억 원)로 34위에 올랐다.
옐로모바일은 지난해 4700만 달러의 자금을 모집했고 회사가치가 40억 달러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옐로모바일 지분 26%를 가진 이 대표의 자산가치도 늘어났다.
쿠팡을 창업한 김범석 대표도 자산이 9억5천만 달러로 36위에 올랐다.
포브스는 이상혁 대표와 김범석 대표를 포함해 6명의 자수성가형 경영인을 올해 50인 부자명단에 넣었다.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은 7위에 올랐고 김재철 동원그룹 회장은 10위에 올랐다.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은 31위,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47위에 올랐다.
포브스가 선정한 우리나라 최고부자는 올해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었다. 이 회장의 자산은 지난해보다 7억 달러 줄어든 126억 달러로 평가됐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84억 달러로 2위를 차지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2억 달러, 권혁빈 스마일게이트홀딩스 대표는 49억 달러,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48억 달러로 뒤를 이었다.
김정주 넥슨 창업주가 6위,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8위,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이 9위를 차지해 10위 안에 포함됐다.
포브스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한국부자들의 자산이 전반적으로 줄었다고 분석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부자 가운데 11명은 자산이 늘고 29명은 줄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