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가 콘텐츠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추진한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엔터 주요 주주들에게 서한을 보내 매각 의사를 전달했다.
카카오엔터는 당초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삼았으나 최근 매각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엔터는 2019년 카카오페이지 시절부터 IPO를 준비해왔으나 쪼개기 상장 논란 등으로 한 차례 상장을 철회했다.
그 뒤 콘텐츠 산업 내 성장세 둔화와 실적 부진이 겹치며 상장 추진 동력이 약화됐다.
카카오엔터의 기업가치는 약 11조 원으로 평가된다.
이는 2023년 초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싱가포르투자청(GIC)으로부터 1조2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산정된 금액이다.
현재 카카오엔터의 최대 주주는 카카오로 66.0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홍콩계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약 12%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이외에도 앵커에쿼티파트너스와 GIC가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 6.73%, PIF가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텐센트도 약 4.5%의 지분을 갖고 있다. 김예원 기자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엔터 주요 주주들에게 서한을 보내 매각 의사를 전달했다.

▲ 카카오가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경영권을 매각한다.
카카오엔터는 당초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삼았으나 최근 매각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엔터는 2019년 카카오페이지 시절부터 IPO를 준비해왔으나 쪼개기 상장 논란 등으로 한 차례 상장을 철회했다.
그 뒤 콘텐츠 산업 내 성장세 둔화와 실적 부진이 겹치며 상장 추진 동력이 약화됐다.
카카오엔터의 기업가치는 약 11조 원으로 평가된다.
이는 2023년 초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싱가포르투자청(GIC)으로부터 1조2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산정된 금액이다.
현재 카카오엔터의 최대 주주는 카카오로 66.0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홍콩계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약 12%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이외에도 앵커에쿼티파트너스와 GIC가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 6.73%, PIF가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텐센트도 약 4.5%의 지분을 갖고 있다. 김예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