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로템이 방산부문에서 K2 양산사업 등의 생산종료에 따라 1분기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현대로템은 27일 공시를 통해 2022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774억 원, 영업이익 236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2021년 1분기보다 매출은 4% 늘었고 영업이익은 9% 감소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레일솔루션(철도차량과 설비)부문에서 1분기 매출 4331억 원, 영업이익 127억 원을 냈다. 2021년 1분기보다 매출은 15%, 영업이익은 14% 늘었다.
현대로템은 “올해 1분기 공항철도 전동차와 GTX-A노선 차상신호장치 설치 사업 등을 수주했다”며 “아일랜드 디젤동차 등 해외 사업 매출 증가에 따라 수익성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방산사업인 디펜스솔루션에서는 1분기 매출 1825억 원, 영업이익 106억 원을 거뒀다. 1년 전보다 매출은 7%, 영업이익은 27% 감소했다.
현대로템은 “K2전차 2차 양산 등 일부 양산사업 생산 종료에 따라 매출이 다소 줄었다”며 “영업이익도 소폭 감소했지만 양호한 수익성은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에코플랜트 사업에서는 1분기에 매출 618억 원, 영업이익 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3% 줄었고 영업이익은 50% 증가했다.
현대로템은 “미국 전기차 스타티업 루시드를 포함해 완성차업체 GM(제너럴모터스) 등 글로벌 완성차회사 생산 설비 및 스마트물류 설비 수주와 현대제철 안전환경 개선 공사 등을 수주했다”며 “1분기 프로젝트 종료에 따라 매출은 다소 감소했지만 신규 수주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현대로템은 올해 1분기 모두 3480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 물량을 확보했다.
세부적으로 레일솔루션에서 공항철도 전동차와 디펜스솔루션에서 착용로봇 판매, 에코플랜트에서 미국 루시드 공장 설비 등이 있다.
현대로템의 1분기 말까지 수주잔고는 9조9813억 원으로 집계됐다. 장은파 기자
현대로템은 27일 공시를 통해 2022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774억 원, 영업이익 236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2021년 1분기보다 매출은 4% 늘었고 영업이익은 9% 감소했다.

▲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사장.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레일솔루션(철도차량과 설비)부문에서 1분기 매출 4331억 원, 영업이익 127억 원을 냈다. 2021년 1분기보다 매출은 15%, 영업이익은 14% 늘었다.
현대로템은 “올해 1분기 공항철도 전동차와 GTX-A노선 차상신호장치 설치 사업 등을 수주했다”며 “아일랜드 디젤동차 등 해외 사업 매출 증가에 따라 수익성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방산사업인 디펜스솔루션에서는 1분기 매출 1825억 원, 영업이익 106억 원을 거뒀다. 1년 전보다 매출은 7%, 영업이익은 27% 감소했다.
현대로템은 “K2전차 2차 양산 등 일부 양산사업 생산 종료에 따라 매출이 다소 줄었다”며 “영업이익도 소폭 감소했지만 양호한 수익성은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에코플랜트 사업에서는 1분기에 매출 618억 원, 영업이익 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3% 줄었고 영업이익은 50% 증가했다.
현대로템은 “미국 전기차 스타티업 루시드를 포함해 완성차업체 GM(제너럴모터스) 등 글로벌 완성차회사 생산 설비 및 스마트물류 설비 수주와 현대제철 안전환경 개선 공사 등을 수주했다”며 “1분기 프로젝트 종료에 따라 매출은 다소 감소했지만 신규 수주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현대로템은 올해 1분기 모두 3480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 물량을 확보했다.
세부적으로 레일솔루션에서 공항철도 전동차와 디펜스솔루션에서 착용로봇 판매, 에코플랜트에서 미국 루시드 공장 설비 등이 있다.
현대로템의 1분기 말까지 수주잔고는 9조9813억 원으로 집계됐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