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이 인공지능(AI) 사업 투자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개인정보 해킹 사고라는 악재를 만났다.
이번 사고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허점이 큰 것으로 드러날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 보안 투자를 더 늘려야하는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과 관련해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갔다.
관계 법령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사실관계를 확인해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위원회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자료 제출을 요구하면서 현장 조사까지 진행할 예정”이라며 “피해 규모 등을 일단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해킹 사고를 계기로 유 사장이 통신서비스는 물론 AI 서비스를 위한 보안 투자를 확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통신은 물론 AI 서비스가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잦은데, 해킹에 취약하다는 인식이 깔리면 사용자 기반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2023년 약 3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를 낸 이후 당시 황현식 대표가 연간 정보보호 투자비를 1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사이버 공격은 늘 능동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방어 역시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인력이나 연구개발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으며, 사고 수습과 함께 보안 투자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유 사장이 AI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는 동안 정보보호 투자가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유 사장은 최근 AI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AI 사업에 집중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2일에도 경기도 판교 사옥 지분을 매각해 AI 투자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2025년 2월 기준 SK텔레콤의 AI 사업 누적 투자액은 6천억 원 수준이다. 회사는 오는 2028년까지 AI 관련 투자액을 기존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앞서 밝혔다.
하지만 회사의 정보보호 분야 투자 규모는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에 따르면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2024년 867억 원의 정보보호 투자비를 집행했다.
이는 2023년 787억 원 대비 약 10.1% 증가한 수치지만, 경쟁사인 KT가 2024년 1217억 원을 투자한 것에 비해선 350억 원 가량 적은 금액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그동안 보안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더라도, AI 사업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이 이번 사고의 원인 중 하나가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지금은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조사 과정에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이번 사고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허점이 큰 것으로 드러날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 보안 투자를 더 늘려야하는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해킹 사고로 인해 정보보호 투자비를 확대해야 하는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 SK텔레콤 >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과 관련해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갔다.
관계 법령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사실관계를 확인해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위원회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자료 제출을 요구하면서 현장 조사까지 진행할 예정”이라며 “피해 규모 등을 일단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해킹 사고를 계기로 유 사장이 통신서비스는 물론 AI 서비스를 위한 보안 투자를 확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통신은 물론 AI 서비스가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잦은데, 해킹에 취약하다는 인식이 깔리면 사용자 기반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2023년 약 3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를 낸 이후 당시 황현식 대표가 연간 정보보호 투자비를 1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사이버 공격은 늘 능동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방어 역시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인력이나 연구개발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으며, 사고 수습과 함께 보안 투자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SK텔레콤이 AI 사업 확대를 위한 투자에 집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보호 투자는 경쟁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업계 일각에서는 유 사장이 AI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는 동안 정보보호 투자가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유 사장은 최근 AI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AI 사업에 집중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2일에도 경기도 판교 사옥 지분을 매각해 AI 투자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2025년 2월 기준 SK텔레콤의 AI 사업 누적 투자액은 6천억 원 수준이다. 회사는 오는 2028년까지 AI 관련 투자액을 기존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앞서 밝혔다.
하지만 회사의 정보보호 분야 투자 규모는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에 따르면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2024년 867억 원의 정보보호 투자비를 집행했다.
이는 2023년 787억 원 대비 약 10.1% 증가한 수치지만, 경쟁사인 KT가 2024년 1217억 원을 투자한 것에 비해선 350억 원 가량 적은 금액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그동안 보안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더라도, AI 사업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이 이번 사고의 원인 중 하나가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지금은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조사 과정에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