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약속한 화석연료 산업 지원 정책보다 관세에 따른 악영향이 미국 내 관련업계 전반에 빠르게 퍼지며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가 하락과 무역활동 위축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교역 활동이 위축되고 유가도 낮아져 화석연료 업계에 실질적 타격이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전문지 더힐은 9일 “트럼프 대통령이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산업 친화 정책을 약속했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그를 향한 반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따른 수혜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반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은 산업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타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중심 정책을 원점으로 되돌리겠다고 공언하며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받던 화석연료 업계의 큰 지지를 얻었다.
미국의 환경 규제가 대거 완화되고 화석연료 생산 확대를 지원하는 ‘드릴 베이비 드릴’ 정책도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상당한 수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에서 이보다 앞서 구체화된 다른 정책들이 화석연료 업계에 피해를 입히는 사례가 발생하며 이러한 기대감도 다소 낮아지고 있다.
더힐은 미국 정부가 중국산 선박에 부과하려 하는 입항 수수료를 대표적으로 들었다. 이는 미국의 석탄 수출에 악재로 꼽히기 때문이다.
미국 석탄 업체들은 이미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불거지며 올해로 예정됐던 수출 주문을 대거 잃었고 이미 생산량 조정 또는 광산 폐쇄마저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가 최근 전 세계를 상대로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도 업계의 불안을 더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이 떠오르며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관련 기업들의 피해가 이미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엑손모빌 원유 정제소.
화석연료 업체들이 채굴 및 생산을 위해 수입하는 자재 비용도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으로 크게 상승하며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화석연료 업계는 가장 수혜를 볼 산업으로 꼽혔는데 관세 정책이 시행되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의미다.
백악관 대변인은 더힐에 “석유 및 천연가스 업계는 4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정부의 환영을 받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주도권 회복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화석연료 산업을 위한 정책이 앞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다만 더힐은 트럼프 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에 이미 관세를 부과해 미국 정제기업들이 복잡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비판도 전했다.
조사기관 블룸버그NEF는 “미국 석유업계는 이웃 국가를 포함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며 “따라서 보호무역주의는 이러한 생태계를 단절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석탄업체 및 이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단체도 미국의 중국산 선박 수수료 부과를 비롯한 정책이 정부 차원에서 관련 업계에 ‘전쟁’을 선포한 셈이라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더힐은 트럼프 정부 정책이 화석연료 업계에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바라봤다.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업계도 발전소에 필요한 부품이나 배터리 수입에 높은 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크리스토퍼 니텔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더힐에 “트럼프 정부 정책이 경기침체로 이어져 산업 위축과 에너지 사용량 감소를 이끈다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유머 섞인 비판도 제기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