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경북에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선제적으로 추경 편성 논의를 시작했고, 더불어민주당도 적극 협력 의사를 밝혔다. 속내는 다르지만 여야가 '재난 대응'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27일 여야 정치권 움직임을 종합하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초대형 산불에 따른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며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무엇보다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충분한 대책을 위해 '산불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경 카드는 국민의힘이 먼저 꺼냈다. 그동안 추경 편성에 미온적 태도를 보였는데 빠르게 태도를 바꾼 셈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틀 전인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정부와)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통상 대응과 함께 추가경정예산 논의에 본격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영남지역 산불의 규모와 피해가 커지자 발빠른 대응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힘이 이처럼 선제적으로 추경 논의에 시동을 건 것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 복귀에 발맞춰 여당으로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최근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우클릭' 행보 등으로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이제 한덕수 권한대행의 복귀를 계기로 분위기 반전을 노릴 만하다.
여기에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뺀 고위당정협의회를 통해 정부와 따로 소통하며 '민생 정당' 이미지를 챙기겠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최근 헌재의 탄핵 선고가 늦어지자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요구하며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농성을 이어가는 등 민생 의제에서 다소 멀어져 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민주당을 보라. 민생을 챙기는 것처럼 하다가 지금 민생을 다 내팽개치고 어떻게 보면 천막당사까지 해서 마은혁 임명에만 목을 맨다"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은 윤 대통령 파면 촉구 투쟁과 함께 민생 행보를 함께 잰행하는 '양동 전략'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추경 편성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만 벌여 왔다. 여야와 정부는 연초 추경안 실무 논의를 하자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이후 정쟁이 심화하면서 관련 논의가 사실상 중단돼 있었다.
이런 와중에 이번 초대형 산불은 반전의 계기가 됐다. 여야는 추경안 내용을 두고 여전히 평행선을 긋고 있지만 당장 이번 산불 재단에 서둘러 대응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을 갖기 힘들다. 이에 추경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이밖에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으로 한덕수 권한대행이 직무에 복귀한 만큼 당정 간 소통도 활발해질 공산이 크다. 오는 30일 개최될 예정인 고위당정협의회는 한 권한대행 복귀 이후 처음 열리는 회의로, 추경 논의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 권한대행이 탄핵심판으로 직무 정지된 이후 고위당정협의회는 1월8일 딱 한 차례 열렸을 뿐이다. '대행의 대행' 체제에서 당정 간 긴밀한 협의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한 권한대행도 현안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려 한다.
마은혁 헌재 재판관 임명을 미루면서 여론의 비판이 높아지고 있어 현안에서 성과를 보여줘야 할 처지에 몰려 있기도 하다.
한 권한대행은 24일 직무 복귀 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국민담화에서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한다. 저부터 달라지겠다"며 "초당적 협력이 당연한 주요 국정 현안들을 안정감 있게, 동시에 속도감 있게 진척시킬 수 있도록 저부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국민의힘은 선제적으로 추경 편성 논의를 시작했고, 더불어민주당도 적극 협력 의사를 밝혔다. 속내는 다르지만 여야가 '재난 대응'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27일 여야 정치권 움직임을 종합하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초대형 산불에 따른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며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무엇보다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충분한 대책을 위해 '산불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경 카드는 국민의힘이 먼저 꺼냈다. 그동안 추경 편성에 미온적 태도를 보였는데 빠르게 태도를 바꾼 셈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틀 전인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정부와)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통상 대응과 함께 추가경정예산 논의에 본격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영남지역 산불의 규모와 피해가 커지자 발빠른 대응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힘이 이처럼 선제적으로 추경 논의에 시동을 건 것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 복귀에 발맞춰 여당으로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최근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우클릭' 행보 등으로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이제 한덕수 권한대행의 복귀를 계기로 분위기 반전을 노릴 만하다.
여기에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뺀 고위당정협의회를 통해 정부와 따로 소통하며 '민생 정당' 이미지를 챙기겠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최근 헌재의 탄핵 선고가 늦어지자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요구하며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농성을 이어가는 등 민생 의제에서 다소 멀어져 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민주당을 보라. 민생을 챙기는 것처럼 하다가 지금 민생을 다 내팽개치고 어떻게 보면 천막당사까지 해서 마은혁 임명에만 목을 맨다"고 말했다.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 네 번째)가 27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민주당은 윤 대통령 파면 촉구 투쟁과 함께 민생 행보를 함께 잰행하는 '양동 전략'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추경 편성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만 벌여 왔다. 여야와 정부는 연초 추경안 실무 논의를 하자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이후 정쟁이 심화하면서 관련 논의가 사실상 중단돼 있었다.
이런 와중에 이번 초대형 산불은 반전의 계기가 됐다. 여야는 추경안 내용을 두고 여전히 평행선을 긋고 있지만 당장 이번 산불 재단에 서둘러 대응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을 갖기 힘들다. 이에 추경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이밖에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으로 한덕수 권한대행이 직무에 복귀한 만큼 당정 간 소통도 활발해질 공산이 크다. 오는 30일 개최될 예정인 고위당정협의회는 한 권한대행 복귀 이후 처음 열리는 회의로, 추경 논의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 권한대행이 탄핵심판으로 직무 정지된 이후 고위당정협의회는 1월8일 딱 한 차례 열렸을 뿐이다. '대행의 대행' 체제에서 당정 간 긴밀한 협의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한 권한대행도 현안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려 한다.
마은혁 헌재 재판관 임명을 미루면서 여론의 비판이 높아지고 있어 현안에서 성과를 보여줘야 할 처지에 몰려 있기도 하다.
한 권한대행은 24일 직무 복귀 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국민담화에서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한다. 저부터 달라지겠다"며 "초당적 협력이 당연한 주요 국정 현안들을 안정감 있게, 동시에 속도감 있게 진척시킬 수 있도록 저부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