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증시에서 센트러스에너지(LEU.US)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고선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4일 “소형모듈원자로(SMR)은 빨라야 2028년에 상용화할 것”이라며 “원전보다 발전 연료에서 수혜가 먼저 확인될 것이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산업 확대에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 빅테크들은 최근 들어 SMR을 찾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이 AI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새 공급원으로 SMR 계약을 맺었다.
다음달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 가능성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원전주를 향한 주목도를 높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친환경 전환에 반대하는 만큼 원전주가 수혜주로 꼽힌다.
다만 SMR의 상용화 시점이 아직 먼 미래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원전주 자체보다는 연료 관련주가 먼저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원자력협회(NEI) 등에 따르면 미국 농축우라늄 수요는 2025년과 2026년 100% 넘게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센트러스에너지는 원자력 발전에 필수 연료가 되는 농축우라늄을 공급하는 업체다.
특히 차세대 원전에 사용되는 고순도 저농축우라늄(HALEU)에 대해 미국 내 독점 생산권을 보유하고 있어 정부 주도의 원자력 정책 지원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센트러스에너지는 올해 2분기 전 분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약 100%를 기록하는 등 SMR산업 열기에서 선제적으로 수혜를 받고 있다.
고 연구원은 “센트러스에너지는 2023년 4분기부터 미국 내 유일한 저농축우라늄 생산업체로 정부에 직접 공급도 시작했다”며 “연말까지 생산규모를 연간 20킬로그램에서 900킬로그램으로 확대할 예정인 만큼 매수접근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고선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4일 “소형모듈원자로(SMR)은 빨라야 2028년에 상용화할 것”이라며 “원전보다 발전 연료에서 수혜가 먼저 확인될 것이다”고 말했다.

▲ 24일 유안타증권은 미국 SMR 연료 관련주로 센트러스에너지를 제시했다. <뉴욕거래소>
인공지능(AI)산업 확대에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 빅테크들은 최근 들어 SMR을 찾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이 AI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새 공급원으로 SMR 계약을 맺었다.
다음달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 가능성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원전주를 향한 주목도를 높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친환경 전환에 반대하는 만큼 원전주가 수혜주로 꼽힌다.
다만 SMR의 상용화 시점이 아직 먼 미래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원전주 자체보다는 연료 관련주가 먼저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원자력협회(NEI) 등에 따르면 미국 농축우라늄 수요는 2025년과 2026년 100% 넘게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센트러스에너지는 원자력 발전에 필수 연료가 되는 농축우라늄을 공급하는 업체다.
특히 차세대 원전에 사용되는 고순도 저농축우라늄(HALEU)에 대해 미국 내 독점 생산권을 보유하고 있어 정부 주도의 원자력 정책 지원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센트러스에너지는 올해 2분기 전 분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약 100%를 기록하는 등 SMR산업 열기에서 선제적으로 수혜를 받고 있다.
고 연구원은 “센트러스에너지는 2023년 4분기부터 미국 내 유일한 저농축우라늄 생산업체로 정부에 직접 공급도 시작했다”며 “연말까지 생산규모를 연간 20킬로그램에서 900킬로그램으로 확대할 예정인 만큼 매수접근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