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마트시티 지피지기 백전불태] UN해비타트의 2022 세계 도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인 56.2%는 도시에 살고 있다. 이 수치는 2050년 68.4%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사람 세 명 중 두 명이 도시에 살게 된다는 의미다.
도시는 이제 인구가 많은 정착지로서 여러 기능이 결합된 생활공간에 그치지 않고 구성원들에게 안전, 이동성, 효율성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될 뿐 아니라 기후변화와 인구감소 등 다양한 문제의 솔루션으로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안으로도 여겨진다.
이러한 도시의 가능성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등 IT기술과 결합한 스마트시티로 구체화된다. 이미 전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이 진행되고 있고 시민들의 삶에 그 효과가 녹아들어가고 있는 사례도 적지 않다.
우리나라도 최고 수준의 IT 기술력과 도시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산업 경쟁력을 높이 쌓아올렸다. 최근에는 민관이 힘을 모아 K스마트시티를 해외건설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수출 상품이자 한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현장부터 스마트시티 도입이 예상되는 수출후보지역까지 탐사하고 스마트시티 산업의 현실 경쟁력과 잠재력을 분석 취재했다.

1부 이미 펼쳐진 미래 스마트시티, 인류의 고민을 푼다
2부 한국의 스마트시티, 어디까지 와 있나
3부 도시개발도 이제는 콘텐츠, 뻗어나가는 K도시
4부 한국의 새 경쟁력이자 도약대, K스마트시티


[비즈니스포스트] 수도 하노이와 호치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해온 베트남이 스마트시티를 앞세워 도시개발에 나선다.

베트남은 인구 집중 현상에 따른 다양한 도시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스마트시티로 삼은 것이다.

베트남은 2019년 스마트시티 로드맵을 발표하고 북부 하노이, 남부 호치민, 중부 다낭 등을 거점 삼는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한다. 그리고 모든 신도시 개발 계획에 스마트시티 요소를 도입한다.

베트남은 스마트시티를 포함한 도시개발을 새 먹거리로 삼으려는 우리 건설사들에 가장 앞선 ‘기회의 땅’으로 여겨진다.

베트남에서는 이미 대우건설, GS건설, 롯데건설 등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들은 베트남에 조성할 신도시를 스마트시티로 꾸린다는 목표를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하노이 서호 부근에 구축한 복합 신도시 ‘스타레이크시티’에 스마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스마트시티로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GS건설은 호치민 인근 냐베현에 첨단기술 중심의 스마트시티 ‘냐베 신도시’를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롯데건설은 호치민 투티엠 지구에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공산국가로서 베트남에 퍼져있는 사고방식과 개발도상국의 더딘 행정 처리, 토지 보상 문제로 우리 건설사들은 원활한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마침 우리 정부는 올해 8월 하노이에 위치한 ‘한-베트남 스마트시티 건설기술 협력센터’ 준공을 계기로 베트남과 스마트시티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했다.

우리 정부는 이 협력센터를 우리 기업의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위한 구심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국과 베트남 양국 정부 차원의 지원이 우리 기업의 베트남 진출 및 사업 확장을 촉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세한 이야기는 채널후 영상과 다음 비즈니스포스트 보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상유 기자

● 도시화 심화하는 베트남, 스마트시티 앞세운 도시계획으로 선진국 도전
● 기회의 땅 ‘베트남’ 잡기 위해 뛰어든 국내 건설사, 사업환경 차이로 고군분투
● 베트남 스마트시티 진출 위한 민관 협력 강화, 국가 주도 전략 필요성 부각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