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 하노이 건설도시간부교육원(AMC)에 위치한 한-베트남 스마트시티 건설기술 협력센터(Vietnam-Korea Cooperation Center·VKC)의 모습.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공공부문이 직접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에 돌입함에 따라 앞으로 민관이 힘을 모으는 모습이 자주 관측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베트남 건설시장 자체가 현지 기업에 매우 유리한 데다 한정된 도시개발사업 공사 수주를 놓고 한국 기업 사이의 경쟁까지 우려돼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는 시선도 존재한다.
정부가 직접 나서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위한 국가 주도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 베트남 하노이 빈홈스마트시티에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베트남 자체 건설 능력이 만만치 않은데?’
‘베트남의 삼성’이라고 불리는 빈그룹에서 조성한 빈홈스마트시티를 둘러보면서 느낀 것은 베트남 건설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체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다는 점이었다.
빈홈스마트시티는 하노이 서부 남뜨리엠 일대에 280만㎡ 규모로 조성되는 복합 주거 단지다. 주택 구역 외에도 상업 구역, 공공시설 등을 갖춘 빈홈스마트시티엔 ‘빈컴 메가몰 스마트시티’라는 대형 몰도 단지 내에 위치했다.
스마트시티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빈홈스마트시티에 적용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베트남 하노이 빈홈스마트시티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돼 있다.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빈홈스마트시티는 베트남의 대중교통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바로잡기에 충분한 스마트 버스 및 스마트 정류장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빈홈스마트시티 입주민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스마트버스는 전기 충전 방식을 채택해 환경과 에너지를 모두 챙겼다. 버스 내부에는 무료와이파이가 설치됐으며 충전을 위한 USB 단자도 있었다.
빈홈스마트시티는 버스가 어느 정도 기다리면 도착하는지를 알려주는 스마트 정류장도 갖췄다. 마치 서울의 버스 운영 방식을 떠올리게 하는 스마트버스는 스마트시티 내부를 돌아다니는 수준이 아니라 하노이의 중심 지역까지 입주민들을 수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 베트남 하노이 빈홈스마트시티에 마련된 전기 자전가 대여 시스템의 모습. 사용법을 알리는 판넬 뒤로 스마트 버스 정류장이 위치했다.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주거용 건물에는 최첨단 스마트홈 시스템을 갖춰 입주민 외의 접근을 막고 CCTV를 거의 10m마다 하나씩 설치하는 등 치안 분야에서도 스마트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점도 확인됐다.
이외에도 빈홈스마트시티는 스마트 교통 관리 시스템, 스마트 에너지관리시스템, 중앙집중식 폐기물 관리 시스템, 태양광 패널, 빗물 수집 시스템 등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 베트남 하노이 빈홈스마트시티에서 스마트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능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깨닫자 이러면 한국 기업이 진출하기 힘든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현지에서 만난 대우건설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 관계자는 기자의 이러한 의문과 관련해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력을 선보이며 베트남과 기술 협력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기술 협력의 기반이자 대한민국 민관 협력의 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최근 준공한 한-베트남 스마트시티 건설기술 협력센터(Vietnam-Korea Cooperation Center·VKC)다.
▲ 베트남 하노이 건설도시간부교육원(AMC) VKC에 마련된 대한민국 스마트 기술 상설전시관의 모습.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정권이 바뀌고 베트남 정부도 사업의 목적성과 관련해 기존 계획과는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서 계획은 다소 달라졌다.
우여곡절 끝에 베트남 건설도시간부교육원(AMC·Academy of Managers for Construction and Cities)에 대한민국의 스마트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교육하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 사업이 일단락됐다.
특히 VKC 4층에는 한국 기업이 보유한 스마트 기술 가운데 베트남에 꼭 필요한 것들을 소개하는 전시관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2023년에만 화재로 56명이 사망하는 베트남의 환경을 고려한 무선 화재 탐지 시스템과 함께 리튬 배터리 화재 발생을 비약적으로 줄이는 기술도 소개됐다.
▲ 흑연으로 만든 슈퍼 캐퍼시터를 사용해 기존 리튬 배터리 방식을 개선한 하이브리드 스위치 시스템이 소개돼 있다.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이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에는 2~3년 정도인 리튬 배터리의 수명을 10년까지도 늘릴 수 있다. 이외에도 VKC에는 교통사고로 매년 1만 명이 피해를 보는 베트남을 위한 스마트 교통 기술, 하수도 보급률이 13%에 그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하수처리 및 냄새 통합 센서 기술, 효율성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설 분야 스마트 기술 등이 전시됐다.
3층에 마련된 교육실에서는 공무원 교육이 진행되는데 이곳에서는 매년 3~4천 명 정도의 건설공무원이 교육을 받게 된다.
건설연 관계자는 “베트남은 개발도상국이다보니 국가에서 하는 행정의 절반 이상이 도로 건설, 상하수도 건설, 도시 개발, 인허가 같은 건설 분야”라며 “베트남과 한국 교류가 많아져서 서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우건설 관계자 또한 “이번 센터 준공을 통해 교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콘텐츠는 장소만 있으면 계속 바꿀 수 있다”며 “계속 새로운 기술을 소개할 수 있는 데다가 한국 및 베트남 기업들 사이에 이벤트 등을 진행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VKC는 연결고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이자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베트남 하노이 건설도시간부교육원(AMC) VKC에 설치된 스마트 기술 소개 판넬의 모습.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등 대한민국 공공 부문도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H는 베트남 중부지역인 후에성과 북부 흥옌성, 박닌성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과거 LH 사장을 맡은 바 있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7월15일부터 7월17일까지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의 본격 추진을 위해 베트남 건설부 장관, 박닌성 당서기 등 고위급 면담을 진행했다.
박 장관은 7월16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한국·베트남 도시개발 혁신포럼에서도 “스마트시티와 사회주택 사업은 대한민국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 가운데 하나”라며 “베트남에서 늘어나는 도시와 주택 개발 수요는 공공과 민간이 함께 추진하는 투자개발형 사업 확대라는 큰 기회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KIND는 올해 7월 베트남 하남성 인민위원회와 베트남 하남성 스마트 도시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종합 계획 수립과 스마트시티 및 하이테크 산업단지 개발, 한국 투자자 유치 등에서 서로 힘을 모으기로 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IND는 최근 이사회 결의를 거쳐 대우건설이 진행하는 스타레이크시티 복합개발사업에 123억 원의 투자를 결정하는 등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있다.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을 추진하게 됨에 따라 국가 주도의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김병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장. <하노이=비즈니스포스트>
그는 “정부가 직접 나서서 금융, 제도, 국가 사이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진출을 초기부터 지원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라며 “베트남에서 한국 기업들끼리 소모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 발생하면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일반 연구개발(R&D), 공적원조사업(ODA)을 진행하듯 베트남 스마트시티 시장에 진출하려고 하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며 “올인(All In)을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VKC 준공식에 참석한 김병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장은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관련 협력이 성공하려면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동반자적 관계로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질이나 정보 측면에서만 좋은 도시를 만들겠다고 하면 그건 진정한 스마트시티가 될 수 없다”며 “스마트시티가 성공하기 위해선 기술적 측면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도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이어 “베트남은 대한민국의 압축성장을 쫓아오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을 함께 고민하고 같이 걸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홍준 기자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