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모든 올레드(OELD) 분야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해 선두를 유지했다.
시장조사업체 DSCC는 2024년 2분기 OLED 패널 출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가량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태블릿과 모니터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했다. 스마트폰 OLED 패널 출하량은 49%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2분기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와 비교해 13%, 지난해 2분기 대비 50%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태블릿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42%, 356% 증가했다. 스마트폰은 6%, 49% 늘었으며, OLED TV는 43%, 30% 증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든 OLED 패널 부문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점유율이 올해 1분기 37%에서 2분기 40%로 늘어났다.
애플의 신형 아이패드에 OLED를 공급하며, 태블릿 부문 OLED 출하량이 전분기와 비교해 248% 증가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DSCC는 “OLED 패널 출하량 증가는 OLED 수요가 강하다는 것”이라며 “상업용과 소비자용 수요 증가와 다양한 인공지능(AI) 혁신으로 OLED 패널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호현 기자
시장조사업체 DSCC는 2024년 2분기 OLED 패널 출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가량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 시장조사업체 DSCC는 20일 보고서를 내고 올해 2분기 삼성디스플레이가 OLED 패널 점유율 40%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DSCC >
특히 태블릿과 모니터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했다. 스마트폰 OLED 패널 출하량은 49%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2분기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와 비교해 13%, 지난해 2분기 대비 50%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태블릿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42%, 356% 증가했다. 스마트폰은 6%, 49% 늘었으며, OLED TV는 43%, 30% 증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든 OLED 패널 부문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점유율이 올해 1분기 37%에서 2분기 40%로 늘어났다.
애플의 신형 아이패드에 OLED를 공급하며, 태블릿 부문 OLED 출하량이 전분기와 비교해 248% 증가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DSCC는 “OLED 패널 출하량 증가는 OLED 수요가 강하다는 것”이라며 “상업용과 소비자용 수요 증가와 다양한 인공지능(AI) 혁신으로 OLED 패널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