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한전)가 밀양 에너지저장장치(ESS) 신규 가동으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긴 에너지저장장치 건설 사업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한전은 19일 경상남도 밀양 나노산단 내 부북변전소에서 336㎿(메가와트)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최초로 가압했다고 22일 밝혔다. 336㎿의 용량은 국내 에너지저장장치 중 가장 큰 규모다.
가압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투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최종 가압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 생산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전력 시스템 효율을 최대 1GW(기가와트) 높여 전력공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20년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영주∙함양∙예산∙영천∙신남원∙부북 6개 변전소에서 모두 978㎿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 건설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번 가압이 사업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한전은 제10차 송변전설비계획에 따라 향후 소룡∙논공∙나주∙선산∙신영주 5개 변전소에 300㎿ 에너지저장장치 건설도 추진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ESS와 같은 신기술 역량을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한편 안정적 전력공급이라는 본연의 임무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완 기자
한전은 19일 경상남도 밀양 나노산단 내 부북변전소에서 336㎿(메가와트)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최초로 가압했다고 22일 밝혔다. 336㎿의 용량은 국내 에너지저장장치 중 가장 큰 규모다.

▲ 한국전력공사는 19일 경상남도 밀양 부북 변전소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처음으로 가압하였다고 22일 밝혔다. <연합뉴스>
가압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투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최종 가압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 생산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전력 시스템 효율을 최대 1GW(기가와트) 높여 전력공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20년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영주∙함양∙예산∙영천∙신남원∙부북 6개 변전소에서 모두 978㎿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 건설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번 가압이 사업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한전은 제10차 송변전설비계획에 따라 향후 소룡∙논공∙나주∙선산∙신영주 5개 변전소에 300㎿ 에너지저장장치 건설도 추진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ESS와 같은 신기술 역량을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한편 안정적 전력공급이라는 본연의 임무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