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재구조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한 아파트 건설현장. <연합뉴스>
건설업 불황에 금융권을 통한 자금 확보까지 더욱 어려워질 위기에 건설사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장기 불황에 대응해 대형, 중소형 건설사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SGC이테크건설은 6일 사내 공지를 통해 임원의 감원 및 급여 삭감, 직책자는 6개월 수당 정지, 직원에는 자기볼돔 휴무 시행 등 내용이 담긴 ‘2024년 비상경영 시행’을 발표했다.
대형 건설사로 꼽히는 포스코이앤씨 역시 6월에 상무급 이상 급여의 자진 반납, 직원의 의무 연차 비율 100%로 상향 등 긴축경영 내용이 담긴 노사 공동 실천결의를 내놓기도 했다.
대우건설은 6월 장기근속·고연차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DL이앤씨도 주택부문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말이 나돈다.
주택 공급 축소와 공사비 급등으로 건설업 경영환경이 악화한 가운데 부동산 PF 옥석가리기가 진행되면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자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권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금융감독원은 이번 주부터 부동산 PF와 관련해 금융회사 점검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점검 대상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와 관련해 금감원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평가보다 관대하게 등급을 구분한 금융회사다.
금감원은 부동산 PF 시장의 연착륙을 목표로 사업성 평가 등급을 기존 양호, 보통, 악화 등 3개 등급에서 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 등 4등급으로 세분화한 뒤 유의 및 부실우려 등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구조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금융회사에는 각 금융회사의 부동산 PF 사업장 가운데 연체, 연체유예, 만기 3회 이상 연장인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성을 재평가한 뒤 평가 결과를 제출하도록 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들로부터 5일까지 사업성 재평가 결과를 받기로 했으나 일부 금융회사에서는 업무 과중 등을 이유로 결과 제출을 9일까지 미룬 것으로 전해진다.
부동산 PF 재구조화를 위한 금융당국의 움직임은 금융위원장의 교체에 오히려 더 가속이 붙을 수도 있다.
4일 지명된 김병환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1971년생으로 1972년생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서울대 경제학과 선후배인 만큼 금융위와 금감원 사이에 정책 공조가 이전보다 크게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후보자와 이 원장 모두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로 꼽힌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4일 지명 발표 뒤 브리핑에서 “하반기 금융시장의 리스크들 가운데 부동산 PF를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을 통해 진행될 부동산 PF 재구조화의 규모는 20조 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의 추산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 PF 사업장의 규모는 230조 원에 이르며 사업성 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 부실우려 등급의 비율은 5~10% 정도다.
부동산 PF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건설사들의 유동성 확보는 더욱 곤란해질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부동산 PF 사업장의 부실 등급에 따라 금융회사가 쌓아야 할 충당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악화 등급 사업장은 금융사가 부동산 PF 대출액의 3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했으나 앞으로 부실우려 등급인 사업장에는 대출액의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신용평가사들은 2금융권에서만 조 단위의 추가 충당금이 발생할 것으로 바라본다.
공사비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미분양 증가 등으로 이미 업계 불황의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로서는 부동산 PF 재구조화가 또 다른 고비가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결국 중소형 건설사들의 부도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 건설공사정보시스템을 보면 올해 들어 5월에 처음으로 종합건설사가 부도 처리됐다. 현재까지 5월에 3개, 6월에 3개, 7월 초 1곳 등 모두 7개의 종합건설사가 부도를 냈다.
종합건설사 외에 전문건설사까지 더하면 올해 상반기에만 건설기업 20곳이 부도를 냈다. 지난해에 21곳의 건설기업이 부도를 낸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반기만에 비슷한 규모로 따라잡은 셈이다.
건설 업황은 하반기에도 크게 나아지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주된 시선으로 보인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국내 하반기 건설경기를 놓고 6월에 내놓은 ‘주택 건설경기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정부의 정책 대응으로 부동산 PF 부실 우려는 일정 부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비수도권 중심으로 주택 매매수요의 전반적 위축으로 앞으로 아파트 미분양 해소는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비주택 부문의 부동산 PF 대출에는 일부 사업장의 부실이 금융권 경로를 통해 연결된 주택부문 사업장의 자금경색과 이어질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