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카카오톡의 해킹 소문과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며 선을 그었다.
카카오는 22일 카카오톡에서 ‘이거 눌러봐요’ 링크를 누르면 해킹을 당한다는 소문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날 카카오톡 사용자 사이에서는 ‘우와 ㄷㄷ’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거 눌러봐요’라는 버튼이 퍼졌다. 이 버튼을 누르면 “나는 원숭이다”라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보내졌다.
이후 온라인에서는 “‘이거 눌러봐요’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고유 패킷이 스니핑 돼 카카오톡 해킹과 강제 메시지 전송 등으로 악용 당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스니핑은 네트워크 중간에서 패킷 정보를 빼돌리는 것을 말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스니핑이나 해킹은 사실이 아니다"며 "이용자들의 불편이나 혼란이 예상돼 해당 메시지가 더 이상 공유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말했다.
현재 이 기능은 차단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카카오는 22일 카카오톡에서 ‘이거 눌러봐요’ 링크를 누르면 해킹을 당한다는 소문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 카카오 로고.
이날 카카오톡 사용자 사이에서는 ‘우와 ㄷㄷ’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거 눌러봐요’라는 버튼이 퍼졌다. 이 버튼을 누르면 “나는 원숭이다”라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보내졌다.
이후 온라인에서는 “‘이거 눌러봐요’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고유 패킷이 스니핑 돼 카카오톡 해킹과 강제 메시지 전송 등으로 악용 당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스니핑은 네트워크 중간에서 패킷 정보를 빼돌리는 것을 말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스니핑이나 해킹은 사실이 아니다"며 "이용자들의 불편이나 혼란이 예상돼 해당 메시지가 더 이상 공유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말했다.
현재 이 기능은 차단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