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오랜 기간 대규모 적자를 보며 '골칫덩이'로 안고 있던 중대형 배터리사업에서 본격적으로 결실을 거둘 시기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이 발빠르게 에너지저장장치(ESS)분야로 눈을 돌리고 신규공장 가동을 앞당기는 등 불도저식으로 밀어부쳤던 것들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셈이다.
 
[오늘Who] 전영현, 삼성SDI 에너지저장장치로 희망을 쏘다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삼성SDI가 지난 수년 동안 중대형 배터리에 적자를 감수하고 대규모 시설투자와 연구개발을 지속해온 것은 주로 전기차분야에서 공급을 확대하려는 목표를 두고 이뤄졌다.

하지만 휘발유와 디젤 등 화석연료차량이 대부분인 시장에서 전기차가 '대세'로 자리잡기는 여전히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전 사장은 지난해 삼성SDI 대표에 오른 직후 이런 상황에 주목해 에너지저장장치 고객사로 중대형 배터리 공급물량을 돌리는 데 많은 공을 들였다.

이런 노력으로 호주의 세계 최대 규모 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 규제가 까다로운 미국에서 2건의 프로젝트 수주 등 의미있는 성과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에 따르면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에너지저장장치시장 점유율은 30%에 가까워 1위를 차지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적자를 보는 전기차 배터리보다 수익성이 높은 에너지저장장치에 공급을 집중하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본 것"이라며 "최소 3년 정도 우위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의 본격적 성장은 전기차 배터리보다 앞선 올해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가 시장을 선점한 효과를 봐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전 사장은 이를 앞두고 삼성SDI가 수혜폭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놓고 있다.

전 사장이 올해 연말에서 상반기로 가동 시기를 앞당긴 유럽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완공되면 한국과 중국 생산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의 생산 비중을 크게 높일 수 있다.

BMW와 폴크스바겐 등 완성차 고객사의 신차 출시일정에 맞춰 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생산라인을 최대한 빠르게 효율화하기 위해 전 사장이 적극적으로 나선 성과인 것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입찰에 참여했던 칠레 리튬 개발사업권도 최근 따내는 데 성공하며 배터리업체들의 최대 당면과제로 꼽히는 원재료 확보 노력에도 성과를 냈다.

에너지저장장치와 전기차 배터리시장 경쟁이 더 치열해질 가능성에 대비해 삼성SDI가 원가 경쟁력과 공급능력에서 모두 우위를 갖춰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김 연구원은 "에너지저장장치 수주 성과가 삼성SDI 중대형 배터리 흑자 전환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며 "올해부터 가파른 실적 증가를 보이며 '성장통'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삼성SDI 주가는 12일 오후 3시 현재 직전거래일보다 3% 이상 오른 20만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