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일본에서 펼치고 있는 식품과 엔터테인먼트, 뷰티 등 다양한 사업의 현황을 점검했다.
이재현 회장이 지난 2일부터 사흘 동안 일본 도쿄 지역을 방문해 현지 사업을 점검하고 일본 엔터테인먼트 및 유통, 금융업계 주요 인사들과 만나 CJ그룹의 글로벌 사업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다고 9일 CJ그룹이 전했다.
김홍기 CJ 대표이사와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ENM 대표이사 등 그룹 주요 전문경영인들이 이 회장의 일본 출장에 동행했다. 이 회장의 아들인 이선호 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도 함께 했다.
이 회장은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해 사업 성과를 점검했다.
이 회장은 “일본에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다”며 “비비고, 콘텐츠 등 이미 준비된 일본 사업들이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수요를 넓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현장 및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경영진들에게 CJ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현지 협력기업과 협력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이 회장은 일본 현장경영에서 사사키 다카시 회장, 아베 류지로 사장 등 TBS그룹 주요 경영진을 만나 CJ그룹과 TBS그룹의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오카후지 마사히로 이토추상사 회장, 이마이 세이지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회장, 카토 마사히코 미즈호 은행장 등과도 만나 사업 협력 분야를 논의하고 신사업과 관련한 인사이트도 공유했다.
일본 경제와 통화·금융의 최고 전문가로 꼽히는 호시 다케오 도쿄대학교 교수를 비롯해 한일 문화콘텐츠 전문가 등을 만나 경제환경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그룹 사업 확대 기회도 모색했다. 일본 내 MZ세대를 중심으로 콘텐츠뿐 아니라 식품·뷰티 등 K컬처 전반으로 확산하는 트렌드를 분석하고 일본의 장기 저성장 극복 방안과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인사이트도 나눴다.
CJ그룹은 일본에서 식품·엔터테인먼트·뷰티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일본 현지에서 비비고 만두와 김밥 등 간편식 제품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CJENM은 2019년 일본 합작법인 라포네를 설립하고 휴먼 IP기획·플랫폼·매니지먼트를 아우르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일본과 미국 등을 글로벌 진출 우선 전략국가로 선정하고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자체 브랜드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늘리고 글로벌몰 인지도를 높이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CJ그룹은 “일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K컬처가 확산하는 가운데 현지 트렌드를 직접 파악하고 글로벌 진출 현황을 점검하는 취지”라며 “국내외 현장경영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그룹의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영토 확장 가속화를 위해 대내외 소통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이재현 회장이 지난 2일부터 사흘 동안 일본 도쿄 지역을 방문해 현지 사업을 점검하고 일본 엔터테인먼트 및 유통, 금융업계 주요 인사들과 만나 CJ그룹의 글로벌 사업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다고 9일 CJ그룹이 전했다.
김홍기 CJ 대표이사와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ENM 대표이사 등 그룹 주요 전문경영인들이 이 회장의 일본 출장에 동행했다. 이 회장의 아들인 이선호 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도 함께 했다.
이 회장은 일본지역본부를 방문해 사업 성과를 점검했다.
이 회장은 “일본에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다”며 “비비고, 콘텐츠 등 이미 준비된 일본 사업들이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현지화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수요를 넓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현장 및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경영진들에게 CJ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현지 협력기업과 협력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이 회장은 일본 현장경영에서 사사키 다카시 회장, 아베 류지로 사장 등 TBS그룹 주요 경영진을 만나 CJ그룹과 TBS그룹의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오카후지 마사히로 이토추상사 회장, 이마이 세이지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회장, 카토 마사히코 미즈호 은행장 등과도 만나 사업 협력 분야를 논의하고 신사업과 관련한 인사이트도 공유했다.
일본 경제와 통화·금융의 최고 전문가로 꼽히는 호시 다케오 도쿄대학교 교수를 비롯해 한일 문화콘텐츠 전문가 등을 만나 경제환경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그룹 사업 확대 기회도 모색했다. 일본 내 MZ세대를 중심으로 콘텐츠뿐 아니라 식품·뷰티 등 K컬처 전반으로 확산하는 트렌드를 분석하고 일본의 장기 저성장 극복 방안과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인사이트도 나눴다.
CJ그룹은 일본에서 식품·엔터테인먼트·뷰티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일본 현지에서 비비고 만두와 김밥 등 간편식 제품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CJENM은 2019년 일본 합작법인 라포네를 설립하고 휴먼 IP기획·플랫폼·매니지먼트를 아우르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일본과 미국 등을 글로벌 진출 우선 전략국가로 선정하고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자체 브랜드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늘리고 글로벌몰 인지도를 높이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CJ그룹은 “일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K컬처가 확산하는 가운데 현지 트렌드를 직접 파악하고 글로벌 진출 현황을 점검하는 취지”라며 “국내외 현장경영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그룹의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영토 확장 가속화를 위해 대내외 소통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