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주요 금융지주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타격이 우려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신한금융그룹은 7일 국내 수출기업을 포함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선제적 금융지원 10조5천억 원 규모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신한금융은 우선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기업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조4천억 원 규모를 지원한다. 더불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는 특별 금리인하 ‘Hi-pass’ 쿠폰을 3조 원 규모로 지급하기로 했다.
신규대출 부분에서는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5천억 원, 신용보증기금 특별출연으로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에 6천억 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기업들의 수입신용장 만기연장, 수출입 중소기업을 위한 세무·외환·회계 등 경영컨설팅도 진행한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신한금융은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으로 어려움을 겪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해 금융시장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주요 계열사 KB국민은행을 통해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8조 원 규모로 운영한다.
세부내용을 보면 중소기업·소상공인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조5천억 원에서 3조 원으로 확대한다.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적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 지원규모도 3조 원에서 5조 원으로 늘린다.
KB금융은 이밖에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230억 원을 특별출연해 보증서 8400억 원 규모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제조기업, 수출기업에 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담보와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 수출기업 등은 이를 통해 3년 동안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포인트 이내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KB금융은 미국 관세부과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자동차 관련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별도의 업무협약도 맺는다. 이 협약으로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대출을 모두 1500억 원 규모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우리금융그룹도 이날 오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지원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임종룡 회장은 “우리금융은 즉각 비상경영태세로 전환해 금융당국의 정책기조와 대응에 적극 협력하겠다”며 “현장에서 직접 파악한 기업고객들의 구체적 애로사항과 요구를 기초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앞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발표 다음날인 3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상 긴급 금융지원 6조3천억 원 규모를 집행한다고 밝혔다. 박혜린 기자
신한금융그룹은 7일 국내 수출기업을 포함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선제적 금융지원 10조5천억 원 규모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 KB,신한, 하나,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수출입기업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신한금융은 우선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기업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조4천억 원 규모를 지원한다. 더불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는 특별 금리인하 ‘Hi-pass’ 쿠폰을 3조 원 규모로 지급하기로 했다.
신규대출 부분에서는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5천억 원, 신용보증기금 특별출연으로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에 6천억 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기업들의 수입신용장 만기연장, 수출입 중소기업을 위한 세무·외환·회계 등 경영컨설팅도 진행한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신한금융은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으로 어려움을 겪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해 금융시장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주요 계열사 KB국민은행을 통해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8조 원 규모로 운영한다.
세부내용을 보면 중소기업·소상공인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조5천억 원에서 3조 원으로 확대한다.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적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 지원규모도 3조 원에서 5조 원으로 늘린다.
KB금융은 이밖에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230억 원을 특별출연해 보증서 8400억 원 규모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제조기업, 수출기업에 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담보와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 수출기업 등은 이를 통해 3년 동안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포인트 이내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KB금융은 미국 관세부과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자동차 관련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별도의 업무협약도 맺는다. 이 협약으로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대출을 모두 1500억 원 규모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우리금융그룹도 이날 오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지원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임종룡 회장은 “우리금융은 즉각 비상경영태세로 전환해 금융당국의 정책기조와 대응에 적극 협력하겠다”며 “현장에서 직접 파악한 기업고객들의 구체적 애로사항과 요구를 기초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앞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발표 다음날인 3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상 긴급 금융지원 6조3천억 원 규모를 집행한다고 밝혔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