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투자에 더욱 속도를 내는 과정에서 화석연료 기반 전력 사용량 증가가 불가피해졌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만회할 수 있는 방법으로 탄소포집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사진.
재생에너지로 막대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데 따라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대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적극 찾아나선 결과다.
23일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빅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운영에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저탄소 에너지원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전력 사용량이 예상보다 높아지는 한편 데이터센터 투자 규모도 갈수록 크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신설되는 인공지능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엔비디아를 비롯한 기업의 고성능 반도체를 다수 활용하는 형태로 구축된다. 자연히 대량의 전력이 필수적이다.
메타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를 주도하는 기업들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계획도 중요한 사업 목표 가운데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에 활용하는 전력을 대부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고 최근에는 원자력 에너지 장기 수급 계약을 체결하는 사례도 늘리고 있다.
하지만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가 한동안 화석연료에 의존을 크게 낮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제시했다.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 속도가 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를 앞서나가며 전력 공급망이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원자력 에너지 역시 원전 재가동 및 신설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각국의 엄격한 규제 문제로 단기간에 전력 공급에 기여하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결국 빅테크 기업들은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 수급을 늘리면서도 중장기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를 만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서고 있다.
온실가스를 공기 중에 배출하는 대신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는 탄소포집 기술은 이러한 시도에 가장 중요한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센터에 공급하는 전력 생산 과정에서 공기 중에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줄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기존 화석연료 발전소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인 엔터지의 발전소 사진.
엑손모빌과 쉐브론 등 거대 석유업체들이 빅테크의 탄소포집 기반 화석연료 수요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으로 꼽혔다. 이들은 중장기 시장 성장에 대응해 대규모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다수 지연되거나 좌초될 위기에 놓이면서 화석연료 기반의 전력 발전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정부는 화석연료 채굴을 대폭 늘려 발전량을 단기간에 크게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의 수요도 감안한 것이다.
빅테크 기업들은 최근 잇따라 탄소감축 목표를 축소하거나 달성 시기를 늦추는 등 화석연료 기반 전력 사용량 증가에 따른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기업 이미지 악화나 각국의 환경규제 등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해진다.
따라서 중장기 탄소감축 목표에 기여하는 동시에 화석연료 사용량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탄소포집 관련 분야에 빅테크의 관심은 갈수록 높아질 공산이 크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메타는 대규모 탄소포집 설비 구축을 추진하는 엔터지와 크레센트미드스트림 등 기업의 프로젝트에 자금을 공급하거나 협력하기로 했다.
크레센트미드스트림은 마이크로소프트도 탄소포집 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마존도 탄소포집 기술을 활용하는 발전소에서 전력 수급 계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이러한 사례가 점점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탄소포집으로 저장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적 한계와 경제성,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난제로 꼽힌다.
증권사 레이먼드제임스는 지난해 기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이 400억 톤 안팎에 이른 반면 탄소포집 기술로 저장된 탄소는 5100만 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바이든 정부에서 탄소포집 설비에 세액공제를 두 배 가까이 늘렸지만 여전히 경제성을 확보하기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에서 친환경 예산을 중심으로 감축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탄소포집 분야에 지원 정책을 확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