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 “정부 수소환원제철 지원금 턱없이 부족, 규모 확대 필수”

▲ 기후솔루션이 집계한 주요 철강 생산국별 수소환원제철 지원금 규모와 철강 생산량. <기후솔루션>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정부가 철강 산업 탈탄소화에 지원하는 금액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후솔루션은 11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녹색 철강의 미래, 수소환원제철-탄소중립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 주도의 투자 필요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정부에서 철강 산업에 지원하는 2685억 원 가운데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에 투입되는 금액은 약 269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환원제철은 석탄을 수소로 대체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에서는 포스코(POSCO)가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 하이렉스(HyREX)를 개발하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수소환원제철 개발까지 약 20조 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때문에 한국 외 주요 철강생산국들은 모두 조 단위 금액을 수소환원제철 개발에 지원하고 있다.

독일이 10조2천억 원을 배정해 가장 규모가 컸고 일본(4조491억 원), 미국(2조100억 원), 스웨덴(1조4471억 원)이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약 6700만 톤으로 세계 6위, 철강 제품 수출량은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최근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EU간 글로벌 지속가능 철강협정(GSSA) 등 글로벌 탄소세 제도 도입으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철강 산업이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철강 산업 배출 탄소량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15%, 산업 전체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런 공정을 바꾸지 않으면 무역 관세제도로 직격탄을 받을 것”이라며 “글로벌 규제 대응과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선 저탄소 기술 개발 및 상용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권영민 기후솔루션 철강팀 연구원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한 결과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한국 정부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계획 수준은 주요 경쟁국 대비 뒤처져 있다”며 “선도적으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유럽식 수소환원제철 공정이 계획대로 상용화된다면 다가올 저탄소 철강 시장에서 한국 철강산업을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손영호 기자